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한은 “반도체 경기 내년 상반기까지 상승…우리 경제 견인”


입력 2024.05.24 06:00 수정 2024.05.24 06:00        이세미 기자 (lsmm12@dailian.co.kr)

ⓒ게티이미지뱅크

내년 상반기까지 반도체 경기가 상승세를 지속하면서 우리나라 경제의 성장흐름을 견인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아울러 반도체 생산을 위한 설비 및 건설투자 등 국내 경기에 긍정적 역할을 더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경제전망보고서 : 최근 반도체 경기 상황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반도체 산업은 지난해 상반기 중 생산(물량 기준)이 증가 전환하고, 하반기부터 수출(통관금액 기준) 역시 증가 전환해 메모리 가격도 상승세로 돌아섰다.


이는 ChatGPT3.5 개발로 촉발된 AI Boom을 계기로 글로벌 반도체 경기가 지난해 초를 저점으로 반등한 영향이다.


한은은 글로벌 반도체 수요 측면에서 AI 서버 부문은 견조한 증가세를 계속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며, 여타 부문(일반 서버·모바일·PC)도 개선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AI 서버 부문은 AI Boom에 대응하기 위해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가 지속되고 있어 향후 AI 경쟁 심화로 관련 투자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엔비디아 경쟁업체인 AMD가 최근 AI 반도체를 출시한 가운데 구글, 메타 등 서비스 중심의 빅테크 기업도 자체 AI 반도체 개발에 나선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일반 서버의 경우, 기존 설비의 노후화, 그간의 투자 부족 등이 수요 회복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모바일은 올해초 AI 기능이 탑재된 갤럭시 S24가 판매 호조를 보인 가운데 하반기에 출시될 아이폰에도 AI 기능이 탑재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련 반도체 수요 확대가 점차 가시화되는 모습이다.


PC의 경우에도 AI 활용을 위한 고성능컴퓨터 수요 증가가 예상되고 있으며, AI 기능 도입이 교체수요가 도래한 PC 수요를 더욱 자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메모리 공급 측면에서는 반도체 기업들이 첨단 제품의 생산능력 확충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수익성을 중시할 가능성이 커 공급 확대가 제약될 수 있다고 봤다.


한은은 AI Boom으로 시작된 최근 상승기는 지난 2016년 클라우드 서버 증설로 시작된 상승기와 유사한 모습의 국내 반도체 수출 추이가 관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2010년대 이후 과거 글로벌 반도체 경기의 상승국면을 살펴보면, 상승 기간은 약 2년으로 유사하지만 상승폭은 각 국면별 수급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다. 반도체 경기는 2013년 스마트폰 수요 확대, 2016년 클라우드 서버 증설,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한 비대면 활동 증가와 같은 신규 IT 수요 증대로 상승기가 시작됐는데, 이에 대응해 반도체 기업들의 투자 및 공급이 큰 폭으로 확대되다가 추가 수요 약화로 인한 공급 과잉이 나타나면서 하락국면으로 전환되는 유사한 패턴을 나타냈다.


다만 상승폭은 수요 확산이 다양한 부문에서 나타나는 경우에 더 컸다. 한은은 모바일 수요 확대에 국한됐던 상승기 보다 클라우드 서버 증설과 가상자산 확산이 나타났던 상승기와 비대면 활동 증가로 전반적인 IT제품 수요가 증가했던 상승기의 매출 증가폭이 더 컸다는 설명이다.


한은은 최근 수요 및 공급 여건을 감안하면, AI 서버에서 여타 부문으로 수요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고 공급 확대가 상대적으로 제약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반도체 경기는 내년 상반기까지는 상승세를 지속하거나 더 길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글로벌 반도체 경기 상승기에 국내 반도체 수출이 호조를 나타내면서 우리 경제의 성장흐름을 견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국내 반도체 생산을 위한 설비 및 건설투자, 그리고 데이터센터 건설투자 등도 국내 경기에 긍정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세미 기자 (lsmm1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