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칼럼
기자의 눈
기고
시사만평
정치
대통령실
국회/정당
북한
행정
국방/외교
정치일반
사회
사건사고
교육
노동
언론
환경
인권/복지
식품/의료
지역
인물
사회일반
경제
금융
증권
산업/재계
중기/벤처
부동산
글로벌경제
생활경제
경제일반
생활/문화
건강정보
자동차/시승기
도로/교통
여행/레저
음식/맛집
패션/뷰티
공연/전시
책
종교
날씨
생활문화일반
IT/과학
모바일
인터넷/SNS
통신/뉴미디어
IT일반
보안/해킹
컴퓨터
게임/리뷰
과학일반
연예
연예일반
TV
영화
음악
스타
스포츠
스포츠일반
축구
해외축구
야구
해외야구
농구
배구
UFC
골프
세계
아시아/호주
미국/중남미
유럽
중동/아프리카
세계일반
수도권
경기남부
경기북부
인천
비쥬얼 뉴스
포토
D-TV
카드뉴스
전체기사
실시간 인기뉴스
착한선진화
中 ‘전랑외교’가 또다시 육량(陸梁)한다
한동안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던 중국의 ‘전랑(戰狼·늑대전사)외교’가 또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대만 유사시 일본 자위대 개입’ 가능성을 언급한 이후 중국은 ‘막가파식 말폭탄’을 쏟아내는 것도 모자라 경제적 보복조치를 취하는 등 전방위·무차별적으로 일본을 난타하고 나선 것이다.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人民日報) 소속 국제뉴스 전문지 환구시보(環球時報)는 20일 ‘일본이 잘못을 바로잡지 않는다면 더 큰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불장난을 하는 자는 결국 스스로 더 큰 불길에 휩싸이…
‘암흑 터널’ 속에 갇혀버린 중국 경제
중국 경제가 캄캄한 ‘암흑 터널’ 속에 갇혀버린 형국이다. 인공지능(AI)과 로봇 등 첨단 테크(기술) 산업에 돈을 퍼붓고 있지만, 중국 경제의 최대 버팀목인 수출이 8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고꾸라진 데다 수렁에 빠진 부동산 시장도 도무지 되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생산자물가지수(PPI) 역시 수십개월째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 내수도 깨어날 조짐마저 없는 탓이다.중국의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PPI)가 2.1% 하락하는 등 중국 PPI는 2022년 10월부터 무려 37개월째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지난 9일…
中, 차세대 토륨 원자로 세계 첫 성공
중국이 ‘차세대 원자로’를 장착해 주목받는 토륨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본격화한다. 중국과학원이 고비사막에 건설한 토륨 용융염(鎔融鹽·고온에서 녹아 액체 상태가 된 소금) 원자로를 통해 세계에서 처음으로 토륨을 우라늄 원자력 연료로 바꾸는 실험에 성공했기 때문이다.중국과학원 상하이 응용물리연구소(SINAP)는 지난 1일 중국 서북부 간쑤(甘肅)성 우웨이(武威)시 민친(民勤)현의 고비사막에 건설한 2메가와트급(㎿)급 실험용 ‘토륨 용융염 원자로’(Thorium Molten Salt Reactor·TMSR)에 토륨을 집어넣어 우라늄 원자…
美, 中에 맞서 ‘핵심 광물 십자군’ 결성한다
미국이 중국의 ‘희토류 등 핵심 광물 무기화’에 대응해 대체 공급망 구축을 위해 ‘십자군’을 조직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정상회담을 통해 희토류 문제를 일단 ‘봉합’함으로써 ‘관세전쟁’ 확전을 피했지만, 희토류 등 핵심 광물 공급망 문제는 언제든 다시 불거질 수 있는 만큼 위기감이 커지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희토류 문제는 부산에서 열린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정상회담에서 핵심 의제로 다뤄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희토류 수출통제를 1년간 유예하기로 했으며 이후 유예를 매년 연장…
中, ‘북극항로’ 선점에 나섰다
중국이 북극해를 경유해 유럽으로 가는 해상 항로를 개척하며 ‘빙상 실크로드’(冰上絲路·Polar Silk Road) 프로젝트를 본격 가동한다. 중국이 운송 기간의 획기적인 단축과 지정학적 위험 회피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새로운 해상 경로인 북극항로 선점에 앞장서고 있는 것이다.리샤오빈(李曉斌) 하이제항윈(海傑航運·영문명 SEALEGEND) 최고운영책임자(COO)는 “내년 여름부터 중국과 유럽을 잇는 북극항로를 정기적으로 운영할 것”이라며 첫 상업운항에 나설 것임을 밝혔다고 관영 신화통신(新華通訊), 공산당 기관지 인…
인도네시아, ‘중국의 채무 덫’에 걸렸다
인도네시아가 결국 ‘중국의 채무 함정’(debt trap)에 빠졌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구상한 ‘일대일로’(一帶一路·Belt and Road Initiative·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를 받아들여 중국 자본이 건설한 고속철도가 승객 수 부족으로 극심한 실적 부진을 겪으며 빚더미에 올랐기 때문이다.인도네시아 정부는 중국 자본이 건설한 고속철도가 개통 2년 만에 심각한 적자 수렁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바람에 중국과 채무 구조조정 논의에 들어갔다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日本經濟新聞·닛케이…
中, ‘美의 급소’ 대두 카드 꺼내 반격에 나섰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자신 소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4주 후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을 만날 것이다. 대화의 주요 의제는 대두(大豆·콩)가 될 것”이라며 “대두와 다른 작물을 다시 위대하게”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중국이 단지 ‘협상’을 이유로 구매를 중단하는 바람에 우리(미국) 대두 재배 농가가 큰 피해를 보고 있다”며 “우리는 관세로 엄청난 돈을 벌었고, 그 수익의 일부를 농민들을 돕는 데 쓸 것”이라고 덧붙였다.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4주 후’는 이달 31일부터 내달 1일까지 경주에서 …
美, 대중 수출통제 ‘구멍’ 물샐틈없이 틀어막는다
미국이 중국의 첨단 ‘반도체 굴기(崛起·우뚝 섬)’를 저지하기 위해 수출통제 조치를 대폭 강화했다. 미 정부의 ‘블랙리스트’(제재 명단)에 중국 기업이 오르면 그 기업의 자회사들까지 자동으로 제재 대상에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화웨이(華爲)나 중신궈지(中芯國際·SMIC)와 같은 주요 반도체 기업들이 직격탄을 맞을 전망이다.미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은 미국의 수출통제 대상 기업명단에 오른 외국 기업 및 단체의 자회사까지 자동적으로 블랙리스트에 포함하는 새 규정을 발표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등이 지난 30일 보도했다. 새 …
美·中, AI 패권 잡기 위해 데이터센터 구축에 ‘혈안’
미국과 중국이 인공지능(AI) 주도권을 잡기 위해 데이터센터 구축에 ‘올인’(all-in·다걸기)하고 있다. 중국이 자체 AI 데이터센터 구축울 통해 미국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맞서겠다는 것이다. 데이터센터는 수만개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한데 모아 AI 모델이라는 ‘뇌’가 작동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심장’ 역할을 하는 곳이다.중국은 도널드 트럼프 2기 미국 행정부의 대형 AI 인프라 개발계획인 스타게이트에 맞대응하기 위해 AI 데이터센터를 새로 구축하는 한편 전국 곳곳에 산재한 주요 데이터센터도 통합하…
뜨겁게 달아오르는 中 증시의 ‘불편한 진실’
중국 증시가 연일 불타오르고 있다. 실물 경제지표가 줄줄이 ‘쇼크’ 수준으로 곤두박질치고 있는 데도 중국 증시는 조금도 굴하지 않고 강한 오름세에 가속도를 붙이고 있는 모양새다.상하이(上海) 종합지수가 1년 동안 무려 1172(43.35%) 이상 급등하는 등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는 19조 달러(약 2경 6000조원) 규모의 중국 증시가 외국인 투자자들을 유혹하고 있다고 영국 로이터통신 등이 지난 17일 보도했다. 지난해 9월 2700선에 머물렀던 상하이 종합지수는 줄곧 강력한 상승세를 타며 3500선을 위협하는 등 오름세에 탄력이 …
한미 관세협상 타결 그후
한미 관세협상 타결 이후 변화와 영향은?
반도체·스마트폰 관세 어떻게?…갤럭시·아이폰 영향 '촉각'[한미 관세협상 타결 그후]
3500억 달러 대미 투자...금융권 조달 시험대 [한미 관세협상 타결 그후]
불확실성 해소 긍정적이지만…"당분간 고환율 유지" [한미 관세협상 타결 그후]
법조계에 물어보니
법잘알이 풀어주는 뉴스 속 법 이야기
"김건희 오빠 영장 기각, 특검 차질 불가피…기각 반복 시 수사 정당성 훼손" [법조계에 물어보니 687]
'사실적시 명예훼손 폐지' 갑론을박…"공공이익 강화" "사생활 과도한 침해 우려"[법조계에 물어보니 686]
'대장동 범죄수익 7800억' 민사 환수 가능 주장 현실성 있나? [법조계에 물어보니 685]
오늘의 칼럼
손기웅의 가야만 하는 길
안보로 덮고 사활적 사익(私益) 챙기는 이재명
서지용의 금융 톡톡
민생쿠폰으로 달구는 내수…내실 다지는 소상공인 맞춤 지원의 시급성
최홍섭의 샬롬 살람
오타니를 벤치마킹하겠다면 그의 인생철학부터 읽어라
11월 21일
코스피 3900선 붕괴 '5000 파도'가 높네… 美 증시 급락 여파
'2차 TV토론 누가 잘했나' 이준석 19.4%…이재명 39.6% 김문수 33.9% [데일리안 여론조사]
'단일화 가상 대결' 이재명 44.1% vs 김문수 46.7%, 이재명 41.5% vs 이준석 34.8% [데일리안 여론조사]
데일리 헬스
하루를 바꾸는 건강·뷰티·라이프 정보 총정리
어제 신나게 달린 당신, 해장은 어떻게? [데일리 헬스]
올해만 3500명 감염됐다…발작성 기침이 계속, '이 질환' 감염자 폭증한 지역은 [데일리 헬스]
이 날씨에 겨드랑이 축축하고 냄새난다면 의심 필요한 '액취증' [데일리 헬스]
뉴스 속 인물
화제의 인물을 파헤쳐 드립니다.
대장동 항소포기 핵심 지휘자…박철우 중앙지검장 영전 [뉴스속인물]
'대장동 항소 포기' 여파, 끝내 퇴임한 노만석 검찰총장 대행 [뉴스속인물]
내란 재판서 돌발 증언 내놓은 곽종근…과거 '진술 달라진다' 지적도 [뉴스속인물]
코인뉴스
알아두면 쏠쏠한, 오늘의 코인소식
[데일리안 오늘뉴스 종합]국민의힘 "이재명정부, 민노총에 55억 전세 지원…정권교체 대가냐", 송언석 "李정부, 특활비 부활 사과하라…방만한 재정 운용 안타까워", [코인뉴스] 비트코인, 7개월 만에 9만 달러 하회…ETF서도 순유출 등
[코인뉴스] 비트코인, 7개월 만에 9만 달러 하회…ETF서도 순유출
[코인뉴스] 비트코인 10만 달러 붕괴…연내 최고치 경신 희망 사라져
KOBC Container Composite Index
(2025-11-17)
(2025-11-10)
KOBC Dry bulk Composite Index
(2025-11-21)
(2025-11-14)
‘검은 금요일’ 코스피, AI 거품 우려에 3%대 급락…3850선 ‘털썩’
코스피가 3850선으로 밀려났다. 엔비디아의 호실적에도 인공지능(AI) 거품론 우려가 재점화되면서 반도체 대형주 중심으로 약세 흐름이 나타났다.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51.59포인트(3.79%) 내린 3853.26에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96.15포인트(2.40%) 밀린 3908.70으로 출발해 약세를 이어갔다.투자 주체별로 보면 개인과 기관이 각각 2조2940억원, 4956억원 순매수해 지수 상승을 유도했으나 외국인이 2조8216억원 순매도해 지수 하락을 이끌었다.코스피 시가총액 상위종…
AI 거품론 재점화에 삼전·하이닉스 ‘휘청’…코스피 3870선 후퇴
다시 떠오른 인공지능(AI) 거품론에 미국 기술주가 휘청인 가운데 코스피 역시 국내 반도체 양대 산맥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약세에 3870선으로 밀려났다.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지수는 오전 10시 9분 현재 전 거래일 대비 131.24포인트(3.28%) 내린 3873.61을 가리키고 있다. 지수는 전장보다 96.15포인트(2.40%) 밀린 3908.70으로 출발해 약세를 이어가고 있다.투자 주체별로 보면 개인과 기관이 각각 1조1049억원, 2270억원 순매수해 지수 상승을 유도하고 있으나 외국인이 1조3545억원 순…
엔비디아발 훈풍에 삼전·하이닉스 ‘쑥’…코스피 4000선 탈환
코스피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강세에 힘입어 4000선을 회복했다. 글로벌 인공지능(AI) 대장주 엔비디아의 호실적에 반도체 대형주로 투자심리가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75.34포인트(1.92%) 오른 4004.85에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101.46포인트(2.58%) 높은 4030.97로 개장해 강세를 이어갔다.투자 주체별로 보면 개인이 1조3917억원 순매도해 지수 하락을 유도했으나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7620억원, 6413억원 순매수해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서울 아파트값 -0.05%…관망세 속 19주 만에 약세 전환
정부의 부동산 대책 여파로 시장 관망세가 짙어지면서 서울 아파트값이 19주 만에 약세로 돌아섰다.21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11월 셋째 주(17~21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3% 떨어져 약세 전환됐다. 서울은 0.05% 하락해 6·27 대책 영향으로 0.02% 떨어졌던 7월 4일 이후 약 19주만의 마이너스 기록이다.경기·인천과 수도권도 각각 -0.01%, -0.03% 마이너스 움직임을 나타냈다. 비수도권에서는 5대광역시가 0.02%, 기타지방은 0.04% 떨어졌다.전국 17개 시도 기준 상승 2곳, 보합 1곳, 하락 …
전국 아파트값 상승폭 확대, 0.24% 올라…서울은 0.31% 상승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폭이 확대되며 상승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14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11월 둘째 주(10~14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24% 올라 일주일 전(0.11%) 대비 오름폭이 확대됐다.서울이 0.31% 상승했고 경기·인천과 수도권이 각각 0.23%, 0.27% 상승했다. 비수도권에서는 5대광역시가 0.14%, 기타지방은 0.08% 올랐다.전국 17개 시도 기준 상승 15곳, 보합 1곳, 하락 1곳으로 상승 지역이 대부분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0.31%) ▲경기(0.26%) ▲부산(0.20%) ▲울산(…
잇따른 대책 여파로 집값 오름폭 둔화…상승 기대감은 여전
수도권 135만가구 착공 계획을 담은 '9·7 공급대책'과 서울 전역·경기 12곳을 규제지역으로 지정한 '10·15 부동산대책'이 잇달아 발표되면서 집값 오름 폭은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은 오히려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7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11월 첫째 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11% 상승했지만 지난 주(0.25%)대비 오름 폭은 둔화됐다. 서울이 0.17%, 경기·인천 지역이 0.09% 각각 올랐고 이를 포함한 수도권은 0.14% 상향됐다.비수도권에서는 5대 광역시가 0.01%, 기타 …
[부고] 김동일(아시아개발은행 이사)씨 모친상
[인사] 팬오션
[인사] 해양수산부
[인사] 에스원
[부고] 이준희(보령 홍보실장)씨 모친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