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장잔GO] '청년미래적금' 나온다는데…갈아타는게 유리할까?

정지수 기자 (jsindex@dailian.co.kr)

입력 2025.09.07 07:16  수정 2025.09.07 07:16

월 최대 50만원 3년간 납입하면

연 16.9% 이자 효과 누릴 수 있어

청년도약계좌와 꼼꼼한 비교 필요

새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 금융상품인 '청년미래적금'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새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 금융상품인 '청년미래적금'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청년도약계좌의 긴 만기와 까다로운 유지 조건에 부담을 느꼈던 가입자들 사이에서는 만기 전 자금을 옮겨 타려는 수요까지 감지된다.


전문가들은 두 상품의 특징이 뚜렷하게 다른 만큼, 개인의 소득 수준, 저축 가능 기간, 자금 목표 등을 꼼꼼히 따져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부는 내년부터 청년 금융정책의 일환으로 청년미래적금을 도입한다.


청년미래적금은 월 최대 50만원을 납입하면 정부가 6~12%의 기여금을 지급해, 3년 간 최대 22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정책 금융상품이다. 이자로 환산하면 연 16.9%다.


가입 대상은 연 소득 6000만원 이하, 중위 200% 이하의 19~34세 청년으로, 납입액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가장 큰 특징은 만기가 3년으로 비교적 짧다는 점이다. 5년 만기를 채워야 비과세 및 정부 기여금 혜택을 받을 수 있었던 청년도약계좌에 비해 부담을 크게 줄였다.


소득 기준을 조정해 형평성을 강화한 점도 눈에 띈다.


청년도약계좌가 개인소득 연 7500만원 이하까지 가입 문턱을 열어둔 반면, 청년미래적금은 소득 상한선이 6000만원 이하로 정해졌다.


대신 소득 구간별 지원금 차등은 줄었다. 소득 구간별 지원금 차등을 줄여 저소득 청년층에 대한 지원을 보다 두텁게 하겠다는 취지다.


청년도약계좌는 개인 연소득에 따라 정부가 지급하는 기여금이 21000원에서 33000원로 나뉘었다.


반면 청년미래적금은 일반형과 우대형으로 나눠 운영된다.


일반형은 가입 은행에서 제공하는 상품 기본금리에 더해 납입액의 6%에 해당하는 정부지원금이 제공된다. 매달 50만원씩 납입할 경우 만기 시 약 2080만원을 받을 수 있다.


우대형은 중소기업에 신규 입사한 청년이 입사 6개월 내 가입하면 은행 이자에 더해 12%의 정부지원금을 제공받는다. 월 50만원을 완납할 경우 만기 시 2200만원을 받을 수 있지만, 3년의 근속 기간을 약정해야 한다.


▼ 관련기사 보기
이재명 "'청년미래적금' 도입…청년에 기회와 희망을"
“내 집 마련 지름길?”…청년층 청약통장 이탈 ‘가속화’


전문가들은 각 상품의 장단점이 명확하기 때문에 각자의 상황에 따라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만약 연 소득이 6000만원을 상회한다면 청년미래적금 자격 요건에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유지하거나, 올해 안에 신규 가입하는 것이 좋다.


반면 초기 소득이 높지 않은 사회초년생의 경우, 청년미래적금이 정부 기여금 혜택을 받기에 더 유리할 수 있다.


구체적인 단기 목표가 있는 경우라면 청년미래적금이 적합하다. 5년을 채워야 하는 청년도약계좌와 달리, 3년 만기로 자금을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소득이 일정하지 않아 장기적인 저축에 부담을 느끼는 청년이라면 청년미래적금이 좋은 선택이다. 상대적으로 만기가 짧아 심리적,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어 중도 해지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청년도약계좌의 신규 가입이 종료되는 만큼, 기존 가입자들의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는 시점"이라며 "정부 기여금 규모, 연계 방안 등을 꼼꼼히 확인한 후 본인의 재무 목표와 상황에 가장 적합한 상품을 선택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정지수 기자 (jsindex@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