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영, 박정훈 휴대폰 전화번호 노출하며
"김일성 추종 세력과 대통령실 연계됐다는
허위 사실 발표했다"고 '김현지 폭로' 비난
野 "김우영, 멱살까지 잡아…사과시켜야"
김우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난데없이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의 휴대전화 번호를 공개하면서 국감이 두 차례 정회되는 등 파행을 겪었다.
김우영 의원은 14일 오후 국정감사가 시작된 이후 지난달 2일과 5일에 받은 문자 메시지를 공개했다. 여기엔 '박정훈입니다. 전화부탁드립니다(2일)'라는 문자가 있었고, 이후 사흘 뒤인 5일엔 후속 문자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메시지를 공개한 화면엔 박 의원의 휴대폰 전화번호도 그대로 노출됐다.
김 의원은 당시 상황과 관련해 12·12 군사반란을 언급하면서 "내가 12·12의 잘못된 내란 행위에 대해 규탄하는 발언을 했다"면서 "특정 의원에 대해 그와 연관된 어떤 사람의 이야기를 했다. (해당 인사가) '전두환 옆에 앉아 있던 사람'이라고 특정했더니 그 당사자가 내게 개인적으로 이런 문자를 보냈다"라고 말했다.
이어 김 의원은 박 의원이 이날 오전 김현지 대통령실 부속실장과 경기동부연합 간의 관계에 관해 의혹을 제기하는 기자회견을 한 것을 거론하며 "공적인 국회 장소에서 공적 질문을 한 것을 가지고 문자 메시지를 통해 저렇게 사적 보복을 하는 사람이 오늘 김일성 추종 세력과 대통령실이 연계됐다는 허위 사실을 발표했다"라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국회의원이라면 가져야할 기본 소양도 어긋난 사람"이라며 "나는 저 사람과 과방위에서 상임위 활동을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자 박 의원을 포함한 국민의힘 의원들은 "전화번호까지 공개해도 되느냐" "'개딸'(민주당 강성 지지층)들이 좌표를 찍었을 것"이라고 반발했다.
박 의원은 신상 발언을 요청했으나 민주당 소속인 최민희 과방위원장은 "동료 의원에게 욕한 부분은 사과하면 된다"고 발언 기회를 주지 않았다. 최 위원장은 국민의힘 의원들의 거센 항의에 국감을 정회했다.
이 과정에서 박 의원은 김 의원에게 "(김 의원이) 멱살까지 잡았는데 내가 다 덮으려고 문자를 보낸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나가"라고 소리치기도 했다.
정회 중에 국민의힘 의원들이 거세게 항의하자 민주당에서는 "야당은 조용히 하라, 폭력을 유발하지 말라"는 반응도 나왔다.
과방위 국민의힘 간사인 최형두 의원은 "(김우영 의원이) 멱살 잡은 것도 사과시켜야 한다"고 요구했다. 같은 당 이상휘 의원은 "(야당 의원을) 긴급체포하라"고 이진숙 전 방송통신위원장의 긴급체포를 빗대 꼬집기도 했다.
국정감사는 정회 37분 만에 재개됐으나 여야 간 공방이 지속되자 최 위원장은 8분 만에 다시 감사 중지를 선포했다.
박 의원은 김 의원도 자신에게 욕설이 담긴 문자를 보냈다고 밝히며 재차 신상 발언을 요청했지만, 최 위원장은 이조차 받아들이지 않았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