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먹는 낙태약, 허가해주세요! ③] 미프진, 해외서는 택배 유통…여성권리 보여주는 지표


입력 2021.10.25 05:16 수정 2021.10.29 10:02        정채영 기자 (chaezero@dailian.co.kr)

미프진, WHO 핵심의약품 지정·FDA 만족도 86%...해외에선 이미 검증된 대중적 약물

유럽 대다수 국가 승인 이어, 미국에서도 약국에서 판매…세계 최초 허가는 중국

전문가 "전 세계적으로 안전하다고 공인된 약물…임신과 출산을 선택하는 것은 여성의 권리"

낙태 ⓒ게티이미지뱅크 낙태 ⓒ게티이미지뱅크

'미프진(Mifegyne)'은 이미 해외에서 대중적으로 복용되고 있다. 심지어 의료진의 감독도 없이 우편이나 택배로 유통될 정도로 접근성이 높아진 국가도 있다. 전문가들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핵심의약품으로 지정했다며 해외에서는 '미프진'의 도입 이후 약물 임신중절이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라고 강조했다.


'미프진'은 현재 67개 국가에서 합법적으로 복용하고 있으며 2005년 WHO가 필수의약품으로 지정해 안전한 임신 중지를 위한 방법으로 공인했다. 또한 미국 식품의약국(FDA)가 진행한 연구에서 여성의 86%가 '미프진' 복용에 만족한다고 답변했다.


프랑스는 1990년 2월 '미프진'이라는 상품명으로 먹는 임신중절약을 판매했다. 이후 프랑스의 인공유산 중 약물을 사용한 임신중절 비율은 1996년 18%에서 2003년 38%, 2016년도에는 64%까지 상승했다. 프랑스를 따라 1991년 7월 영국, 1992년 9월 스웨덴, 2000년 9월 미국도 '미프진'의 판매를 승인했다.


스페인과 핀란드는 1999년 '미프진'을 도입했다. 이 가운데 핀란드는 전체 임신중절의 96%가 약물을 사용한 임신중절이다. 스페인의 약물 임신중절의 비율은 19%로 낮은 편이지만, 스페인과 핀란드에서 '미프진' 도입 이후 나타난 공통적인 변화는 약물의 복용량이 많아지고 접근성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2000년 9월 FDA가 '미프진'의 시판을 승인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의료진의 처방이 있어야 구매할 수 있고 병원 내에서만 복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태와 같은 특수 상황에 놓이면서 임신중절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대부분의 주에서 약국에서의 판매도 허가하는 추세이다.


처방 ⓒ게티이미지뱅크 처방 ⓒ게티이미지뱅크

사실 세계 최초로 임신중절 약물 복용이 허가된 곳은 중국이다. 1988년 10월 중국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미프진'을 허가했지만 '미프진'의 개발국인 프랑스에서 아직 승인을 받기 전이라 Roussel Uclaf사('미프진' 개발사)에서 공급을 거절했다.


그러자 중국 정부는 1992년 자체 제약회사를 설립해 '미프진'의 복제약을 직접 생산했다. 현재는 지역에 따라 수술적, 약물적 임신중절의 비율은 다르지만 '미프진'이 대중적인 약물로 자리 잡았다. 아시아인에게도 오랜 기간 사용이 되어온 사실을 증명해준다.


전문가들은 WHO에서 '미프진'을 필수 핵심의약품으로 지정한 것을 근거로 안전한 약물임을 거듭 강조했다. 아울러 국제사회에서 임신과 출산의 선택은 여성 권리를 알려주는 지표로 사용된다고 역설했다.


나영 모두를위한낙태죄폐지 공동집행위원장은 "'미프진' 사용이 허가된 나라들에선 이미 아시아인들도 복용하고 있다"며 "WHO에서 필수 핵심의약품으로 지정했다는 것은 전문적인 의료통제 없이도 복용이 가능한 안전한 약물이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그는 "오히려 임신중절을 위해 병원을 찾거나 비용을 마련하는 시간 등으로 임신중절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며 "이런 이유 때문에 수술보다 약물적 방법을 사용하는 국가들이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동근 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사무국장은 "미국은 의료진의 감독 없이 '미프진' 사용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며 "올해 초에는 코로나19 사태와 산부인과의사회의 요구까지 더해져 우편접수 후 의료기관 방문 없이 바로 택배로 '미프진'을 받을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이 사무국장은 "20년 동안 써온 의약품이기 때문에 과학적으로 안전성을 설명할 수 있다"며 "임신과 출산을 선택하는 것은 여성의 권리이고, 국제사회에서는 이것의 허용 여부를 여성의 권리를 보여주는 하나의 지표로 간주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채영 기자 (chaezer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정채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