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수본, 추가 붕괴위험 4·6호기 해체 착수
김영훈 “추가 생존자 구조 못 해 송구”
9일 오후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현장에서 매몰자에 대한 구조 및 수색 작업을 잠시 중단한 채 철거 관계자들이 발파 준비를 위한 사전 조치를 하고 있다. ⓒ뉴시스
울산화력발전소 붕괴사고 75시간이 지나도록 추가 생존자가 나오지 않는 가운데, 정부가 붕괴된 보일러타워 5호기의 원활한 수습을 위해 인접한 4·6호기 해체를 위한 발파 사전 작업을 착수했다.
9일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은 브리핑을 열고 “위험요소를 제거하면서 구조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붕괴위험이 있는 4·6호기를 해체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겸 중수본 공동본부장은 “붕괴된 5호기 보일러타워 좌우에 추가 붕괴 위험이 있는 4·6호기 보일러타워가 위치하고 있다”며 “이로 인해 대규모 장비나 인력투입 등에 어려움이 있고, 구조작업에 속도를 내기가 어려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그동안 안전하고 신속한 구조를 위해 소방당국과 함께 전문가들을 모시고 여러 차례 숙의를 거쳤고, 가족분들과 긴밀하게 소통했다”며 “이를 통해 내린 결론은 위험요소를 제거하면서 구조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붕괴위험이 있는 4·6호기를 해체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해체를 위한 발파 자체가 매우 위험한 작업이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병발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고의 전문가들과 다각도에서 심도 있게 관련 사항을 검토하고 있다”며 “중수본은 현대중공업 등 민관전문가 등과 긴밀히 협업해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사전조치들을 완료해 나가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해체작업 과정에서 또 다른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추가 위험요소들을 철저히 관리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 장관은 “사고발생 후 75시간이 지났음에도 추가 생존자를 구조하지 못 해 가족분들과 국민 여러분께 송구하다”며 “소방당국은 여러 위험요소들에도 불구하고 사투를 벌이면서 매몰된 인원들을 구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 6일 오후 2시 2분께 울산화력발전소에서 가로 25m, 세로 15.5m, 높이 63m 규모의 보일러타워 5호기가 붕괴해 현장에 있던 작업자 9명 중 7명이 매몰됐다.
매몰된 7명 중 3명이 사망했다. 2명은 숨진 것으로 추정되며, 나머지 2명은 실종 상태다.
당국은 보일러타워 4·6호기 해체가 완료되면 매몰자 수색을 위해 5호기 잔해를 들어내는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효과적인 작업을 위해 당초 확보해둔 700t급 대형 크레인 대신 소형 크레인과 굴삭기 등으로 전해를 고정해 절단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