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증 진위확인 마비… 신규 계좌·대출 차질
인터넷은행, 비대면 인증 의존해 불편 가중
정부24 일부 복구… 모바일 신분증으로 대체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사고로 이후 첫 영업일인 29일 은행권은 오전부터 혼란을 겪었다. 정부 업무 시스템 기능이 일부 마비돼 주민등록증을 통한 본인확인에 차질이 빚어졌기 때문이다.
특히 신규 계좌 개설이나 대출 관련 업무의 경우 주민등록증을 통해 본인확인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아직 정부 시스템이 복구되지 않아 은행 영업점에 방문해도 전산상으로 본인확인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에 실물 주민등록증을 지참해도 창구 직원이 자동응답전화(ARS)를 거쳐야만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대기시간이 길어졌다.
주민등록증 대신 운전면허증·여권·모바일 신분증 등을 통해 신분확인이 가능했지만, 이를 알지 못했던 고객들은 늘어나는 대기 시간에도 하염없이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
금융당국은 전날(28일) 이같은 상황을 우려해 국정자원 화재 관련 금융권 2차 긴급 대응회의를 개최한 바 있다. 금융소비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서류나 대체 인증수단을 알려 지점에 반복해서 내방하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은 대면 업무를 담당하는 지점이 없이 비대면 본인인증 수단에 의존해야 해 상대적으로 불편이 가중됐다.
카카오뱅크는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 신청 시 고객이 직접 실물 서류 이미지를 올리는 방식으로 대출 심사를 진행하고 있다. 케이뱅크와 토스뱅크에서는 일부 대출 상품 심사가 제한되고 있다.
특히 화재 직후 정부24 연계 서비스가 멈추면서 전월세 대출, 신용대출 신규 접수 시 주민등록등본 등 서류를 행정안전부 시스템에서 불러올 수 없어 불편을 겪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저조차도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이미 접수해 대출일만 기다리고 있었는데 월요일에 업무가 재개되지 않을까봐 너무 마음을 졸이고 있었다”고 밝혔다.
다만 이날 오전 9시 정부24가 정상화되면서 대출 심사에 필요한 서류를 전산상으로 불러오는 절차적 문제는 해소됐다.
실물 주민등록증을 촬영해 행정안전부 시스템과 대조하는 진위 확인 기능은 여전히 제한된다.
한 인터넷은행 관계자는 “주말동안 화재로 금융권 업무 마비가 예상돼 문의가 엄청 많았다. 하지만 업무 시작과 함께 정부24 시스템을 비롯해 모바일 신분증 확인도 가능해졌다. 대출 신규 접수도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주민등록증만 안될 뿐 모바일 신분증이나 운전면허증 등 다른 수단을 활용하면 업무에 큰 문제는 없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