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만이 아냐”...트럼프 ‘1차 타깃’ 된 관세 대상 살펴보니

백서원 기자 (sw100@dailian.co.kr)

입력 2025.09.30 14:21  수정 2025.09.30 14:44

“美, 반도체 생산·수입 1대 1 원칙 검토” 보도

전자제품 반도체 개수 기준 관세 방안도 논의

가전업계 “스마트폰·TV 수출 부담 불가피”

ⓒ데일리안 박진희 그래픽디자이너

미국이 의약품에 이어 반도체와 전자제품 등에도 품목별 관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반도체는 미국 내 생산량에 비례해 무관세 혜택을 주는 대신 초과 수입분에는 관세를 매기는 방안이, 전자제품은 제품에 들어간 반도체 개수에 따라 관세를 매기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미 관세 협상의 후속 조치가 지연될 경우 스마트폰·TV 등 한국 핵심 수출품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6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내에서 제조한 반도체와 수입한 반도체 물량 비율을 1 대 1로 맞추는 것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예컨대 기업이 미국에서 반도체 100개를 생산하면 동일한 수입 물량까지는 무관세 혜택을 주고, 이를 초과하면 고관세를 부과하는 방식이다.


같은 날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행정부가 전자제품 내 들어갑 칩 개수에 따라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며 “칫솔부터 노트북에 이르는 광범위한 소비재가 타격을 입게 되면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생산시설을 두지 않은 모든 의약품에 10월 1일부터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은 현재 철강·알루미늄·구리제품에 50%, 자동차 및 부품에 25%의 관세를 부담하고 있다.


반도체 업계는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지만 미국 생산량 기준으로 관세를 면제하는 구상에 대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입장이다. 반도체 공급망 특성상 자국 생산과 수입을 구분하기 쉽지 않다는 점에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이 이미 미국 공장을 건설 중이어서 제도 시행 시 일정 부분 수혜 가능성도 언급된다.


반면 전자업계는 긴장하고 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PC, 스마트 TV 등 반도체를 다수 사용하는 제품의 피해가 커질 수 있어서다. 업계는 철강·알루미늄에 이어 반도체까지 추가 관세가 부과될 경우 수출 부담이 한층 커질 것이라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다만 로이터는 미국 상무부가 반도체 포함 수입 가전제품에는 최대 25%, 일본과 유럽연합(EU) 제품에는 최대 15%의 관세율 인상을 고려하고 있으나 이 수치는 잠정적이라고 밝힌 상태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백서원 기자 (sw1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