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국가 전산망 마비 사태, '백업 민족' 전통 되살려야"

오수진 기자 (ohs2in@dailian.co.kr)

입력 2025.09.30 14:12  수정 2025.09.30 15:10

"정부, 민간보다 못한 '복구 체계' 납득 어려워

충분한 예산·완전한 이중화 체계 구축 없이는

또다시 '불씨' 하나에 국민이 고통 겪게 될 것"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국가 행정이 닷새째 마비된 것을 두고 "국민의 일상과 행정 업무가 멈추는 초유의 상황 앞에서, 정부가 민간보다도 못한 복구 체계를 갖추고 있었다는 점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안철수 의원은 30일 페이스북에 "우리는 예로부터 '백업의 민족'이었다"며 "불교 경전도 마찬가지였다. 초조대장경이 전란으로 소실되자, 선조들은 막대한 비용과 인력을 들여 팔만대장경을 다시 새겼다"고 강조했다.


안 의원은 "이는 단순한 경전 보존이 아니라, 민족의 정체성을 지켜내기 위한 재백업 프로젝트였다"며 "조선왕조실록은 여러 사고(史庫)에 분산 보관했기에 전쟁의 참화를 지나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가문이 족보를 여러 지파에 나누어 보관한 전통 역시, 기록을 후세에 온전히 전하기 위한 지혜였다"며 "즉, 우리 민족이 기록과 지혜를 지켜온 힘은 바로 철저한 '백업과 이중화'였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이번 국가 전산망 마비 사태는 그 정신을 어디에 두었는지 되묻게 한다"며 "이미 2022년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톡이 10시간 넘게 먹통이 되는 사건을 겪었다. 2023년에는 네트워크 장비 불량으로 정부 전산망이 멈췄다. 그때마다 '이중화가 필요하다' '재난복구 체계를 강화하겠다'는 약속이 쏟아졌지만, 이번 사태를 보니 말뿐이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고 꼬집었다.


안 의원은 "국민의 일상과 행정 업무가 멈추는 초유의 상황 앞에서, 정부가 민간보다도 못한 복구 체계를 갖추고 있었다는 점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전문가들이 지적하는 원인은 결국 예산 부족이다. 그러나 예산은 의지의 다른 이름"이라고 지적했다.


또 "민간 기업들조차 막대한 비용을 감수하면서도 재난복구와 이중화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며 "정부는 더 이상 백업의 중요성을 구호로만 외쳐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안 의원은 "선조들이 그토록 집요하게 기록을 나누어 보관한 것은 국가의 존립과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일이었다"며 "오늘날 전산망과 데이터 역시 다르지 않다.이는 국민의 삶과 국가 운영의 동맥과도 같은 인프라"라고 힘줘 말했다.


아울러 "충분한 예산을 반영하여 실질적이고 완전한 이중화 체계를 구축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또다시 '불씨' 하나에 대한민국 전체가 휘둘리며 국민이 고통을 겪게 될 것"이라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백업의 민족'의 전통을 되살려야 한다"고 부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오수진 기자 (ohs2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