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복구 총력
대구센터 클라우드 활용해 핵심 서비스 이전
오프라인 대체수단·세금 납부 기한 연장 등 불편 최소화
행정안전부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 화재 이후 중단된 정부 전산시스템 복구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안부 차관)은 29일 브리핑을 통해 현재 복구 상황과 국민 불편 해소 방안을 설명했다.
김 차관은 “이날(29일) 낮 12시 기준으로 전체 647개 장애 시스템 중 62개가 복구됐다. 1등급 핵심 업무 시스템은 16개로, 44.4%가 정상화됐다”며 “특히 이번 추석 연휴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 우체국 우편과 금융서비스가 우선 복구됐으며, 주민등록등본 발급 등 주요 민원업무를 담당하는 정부24 서비스도 이날 오전 8시30분부터 다시 이용이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정부는 화재 영향이 적은 전산실부터 순차 복구에 나서고 있다. 분진 청소가 필요한 구역은 전문업체를 투입해 1~2주 이내 작업을 마칠 계획이다. 화재로 전소한 전산실 내 96개 시스템은 대구 민관협력 클라우드 존에 구축할 예정이다.
김 차관은 “정보자원 확보와 시스템 구축에 각각 2주 정도 필요하지만, 대구센터 입주 기업의 협조를 적극 얻어 일정 단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민 불편 최소화를 위한 대책도 병행된다. 재산세 납부 기한 등 행정기한을 연장하고 오프라인으로 발급받는 서류에 대해서는 수수료를 전면 면제했다.
주민 민원 접수는 방문·우편을 통해 가능하도록 조치했다. 국가법령정보센터는 임시 대체사이트를 마련했다. 또 110 정부콜센터와 120 민원콜센터, 주요 포털에서 대체수단 관련 안내를 실시간 제공 중이다.
사실관계 확인과 투명한 소통도 강조됐다. 김 차관은 “일각에서 제기된 무자격 업체 배터리 운반 의혹은 사실과 다르다. 당시 작업자는 자격을 갖춘 전문기술자이자 이번 화재 부상자”라며 “정부는 장애 안내 문자를 악용한 스미싱 등 사이버 범죄를 차단하기 위해 경찰청 등과 협력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번 장애로 국민께 큰 불편을 끼친 점 다시 한번 사과드린다”며 “행정서비스가 조속히 정상화될 수 있도록 필사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