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30년까지 공직 AI 전문가 2만명 양성

배군득 기자 (lob13@dailian.co.kr)

입력 2025.09.24 12:01  수정 2025.09.24 12:01

공무원 전 직원 AI 교육 착수

공직자 대상 AI 인증제 도입

인공지능 기반 행정 고도화 추진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전경. ⓒ데일리안DB

행정안전부가 오는 2030년까지 공직 내부 인공지능(AI) 전문가 2만명을 양성하고, 전 직원의 AI 활용 역량을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한다. AI 기반 행정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혁신을 실현하겠다는 전략이다.


행안부는 공공분야 인공지능 전문인재 양성을 위해 ‘AI 챔피언’ 인증제를 도입하고, 범정부 차원의 교육과정과 민관 협력형 실습 프로그램을 본격 운영한다고 24일 밝혔다.


최근 공공부문에서도 인공지능 기능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외부 채용만으로는 수급에 한계에 직면해 내부 인재 양성이 시급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정부 계획에 따르면 공무원과 공공기관 재직자는 기본적인 AI 리터러시 교육을 전면적으로 이수하게 된다. 행안부는 공공기관이 공동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교육 커리큘럼을 개편했다. 생성형 AI를 활용한 문서작성, 최신 도구 실습 등 실무 중심 역량을 강화한다.


지난 8월 공개한 이러닝 강좌 7종과 교재 12종은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에서 중복 투자 없이 직원 교육에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됐다. 이 교육은 정부혁신평가와 데이터기반행정 실태평가에 반영돼 기관별 참여를 유도할 예정이다.


아울러 2030년까지 전 공공부문 인원의 약 2% 수준에 해당하는 ‘AI 챔피언’ 2만명을 체계적으로 육성한다. 연차별 목표치는 2025년 300명(시범), 2026년 1000명, 2027년 2000명, 2028년 5000명, 2029년 5700명, 2030년 6000명이다.


AI 챔피언 과정은 실습 중심으로 운영된다. 과제 평가를 거쳐 인증을 부여한다. 지난 9월 처음 개설된 과정은 3.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해 공공기관 재직자들의 높은 수요를 확인했다.


또 국세·노동·조달 등 전문분야 교육기관과 함께 특화형 AI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이는 기관별 특성과 고유 업무에 맞춘 커리큘럼으로 2026년 상반기 시범 운영 뒤 전 부처로 확대한다.


여기에 민간 기업과 협력한 프로젝트형 실습 교육도 정례화된다. 지난 4월 네이버와 함께 ‘LLM 기반 AI 모델 개발 미니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올해 11월부터 민관 협력 교육을 정례 운영할 계획이다.


행안부는 이러한 정책을 통해 공공분야에서 인공지능 활용 기반을 확산시키고, 정책 수립과 행정 집행 전반에 AI가 실질적 도구로 작동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AI 민주정부를 만들기 위해서는 이를 뒷받침할 내부 전문가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2030년까지 2만명의 AI 전문가를 양성하고, 전 직원이 일상에서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국민이 신뢰하는 유능한 정부를 구현하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배군득 기자 (lob13@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