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들, '위안부 미언급' 한일회담에 "역사정의 외면" 비판

민단비 기자 (sweetrain@dailian.co.kr)

입력 2025.08.24 14:27  수정 2025.08.24 14:35

정의연 "실용외교 명분에 역사정의 가려져"

민족문제연구소 "李정부 65년 체제 답습"

이재명(왼쪽)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23일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열린 한·일 정상 공동언론 발표를 마친 뒤 악수하고 있다. ⓒ 연합뉴스

시민사회단체들이 한일 정상회담에서 일본군 위안부 인권침해 문제가 언급되지 않자 비판에 나섰다.


정의기억연대(정의연)는 24일 입장문을 내어 "실용외교라는 명분에 역사정의가 가려졌다"며 회담 결과에 유감을 표명했다. 정의연은 양국 정상이 셔틀 외교 복원과 협의체 출범 등을 합의했지만, 일본군 위안부 인권침해 문제는 언급이 없었다고 비판했다.


이어 "대한민국 정부는 가해자의 책임 인정과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당당히 요구하면서 한일관계의 '대전환'을 모색했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민족문제연구소도 성명을 내어 "역사 정의를 외면한 회담 결과"라며 "실망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법원이 강제동원·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일본 측에 배상 책임을 물으며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의 한계를 극복했음에도 이재명 정부가 '65년 체제'를 답습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연구소는 "역사를 봉인하고 미래지향을 선언한다고 일본의 책임은 없어지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전날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 간 '셔틀 외교'를 복원하고, 비핵화·저출산·고령화·재난안전·수소·AI 등 한일 양국이 공통적으로 직면한 과제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한일 당국간 협의체'를 출범시키기로 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민단비 기자 (sweetra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