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예측과 선거 실무 총책…신뢰 확인
수석최고위원 호흡 이어 국정파트너로
과반 여권에 총리 인준 절차 무난할 듯
이재명 대통령이 새 정부의 첫 국무총리로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지명했다. 두 사람은 21대 대선 직전까지 당대표와 수석최고위원으로 호흡을 맞췄으며, 이번에는 대통령과 국무총리로서 국정을 함께 이끌 전망이다. 김민석 의원이 국무총리 후보로 지명된 데에는 대선 과정에서의 핵심 기여와 풍부한 정무 경험, 그리고 이에 대한 이 대통령의 두터운 신뢰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김 의원을 총리 후보자로 지명한 것과 관련 "김 의원은 풍부한 의정활동 경험과 민생 정책역량, 국제적 감각과 통합의 정치력을 갖춘 인사로 위기 극복과 민생경제 회복을 이끌 적임자"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과 김민석 국무총리 체제는 집권 초반 국정 동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여대야소 정국 속에서 국정 과제를 강하게 밀어붙일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국무총리 임명은 국회의 인사청문회를 거친 뒤 본회의에서 재적의원 과반 출석과 출석 의원 과반의 찬성을 얻어야 한다. 민주당 단독으로도 170석을 보유하고 있는 데다, 조국혁신당 등 범여권 의석까지 합치면 192석에 달해 총리 인준은 무난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서울 출생의 김 의원은 서울대 총학생회장을 지낸 '86 운동권' 출신으로 4선 국회의원이다. 32세에 당선돼 15대 국회 최연소 의원 기록을 쓴 인물이자, 최연소 집권당 서울시장 후보(2002년)를 거치기도 했다. 이처럼 김 의원은 한때 386세대의 간판급 정치인이자 차세대 주자로도 분류됐다.
하지만 2002년 대선 당시 노무현·정몽준 후보 단일화 과정에서 정몽준 후보로 지지 노선을 변경했다가 역풍을 맞아 정치적 야인이 된 뒤 방황이 길어지기도 했다. 이런 김 의원이 2015~2016년 연간에 차렸던 원외민주당, 이른바 '마포민주당'을 추미애 대표 체제에서 흡수통합해주면서 정치적 재기의 발판이 마련됐다.
김 의원은 약 20여년의 야인 생활 후 21대 국회를 통해 원래의 무대로 돌아왔다. 21대 국회에서는 당의 서열 3위인 정책위의장을 거쳤고, 22대 총선을 목전에 두고는 실무 총책인 총선 종합상황실장을 맡아 활약했다. 이번 대선에서도 선대위 상임공동선대위원장으로 활약하며 이 대통령이 당선되는 데 기여했다. 김 후보의 강점은 정책의 선명성과 실행력, 그리고 큰 판을 보는 능력으로 꼽힌다.
특히 김 의원은 계엄이 실제 이뤄질 가능성을 예측하면서 이 대통령으로부터 두터운 신뢰를 받았다. 앞서 김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계속된 부인에도 불구하고 '계엄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이어갔다. 김 의원의 주장은 처음에는 여론의 공감대를 얻지 못했으나, 결국 실제 계엄이 선포됐으며 이것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과 조기 대선의 단초가 됐다.
당내에서는 '친명(이재명)계' 핵심 자리매김한 김 의원은 지난해 8월 민주당 전당대회에 이재명 당시 당대표 후보의 러닝메이트 격으로 출마해 최고위원 중 가장 큰 득표를 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전당대회 과정에서 김 의원이 초반 열세를 보이자 "왜 이렇게 표가 안 나오느냐. 난 좀 이해가 안 된다"라고 언급했다. 이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지원사격을 한 이후, 전당대회 최종 결과 김민석 의원이 1위를 차지했다.
김 의원이 지역구에서 쌓아온 정치적 상징성 또한 무시할 수 없다. 김 의원은 국회의사당이 위치한 서울 영등포을을 지역구로 삼아온 인물로, 영등포을은 최근 매 선거에서 여야 심판의 제1 바로미터로 자리매김한 곳이다.
한편 김 의원은 5일 오전 8시 50분경 서울 통의동 금감원 교육연수원으로 출근할 예정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