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총리는 전과 4범
장관 후보자조차 전과 5범"
국민의힘이 이재명 정부의 초대 내각 인사를 두고 "고위공직자 명단이 아닌 '범죄자 명단'"이라며 일침을 가했다.
최수진 수석대변인은 19일 논평을 내고 "대통령은 전과 4범, 총리도 전과 4범, 장관 후보자조차 전과 5범"이라며 "안보관은 흔들리고, 도덕성은 무너졌으며, 능력은 실종됐다"고 지적했다.
최 수석대변인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보좌진에게 자택 변기 수리, 쓰레기 분리수거를 시키고 전직 보좌진의 취업을 방해한 갑질 논란의 당사자"라며 "병원 진료 중 의료진에게 고압적으로 군 정황도 드러났습니다. 권력자에겐 고개 숙이고, 약자에겐 갑질, 전형적인 '강약약강'이다. 약자를 짓밟은 자가 여성가족부 장관 자리에 설 수는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언급하면서는 "제자 논문 표절 의혹, 자녀의 조기유학 논란, 코로나 방역지침 위반까지 삼중의 결격 사유를 안고 있다"며 "심지어 총장 재직 시절엔 직장 내 괴롭힘 진정이 접수됐다. 교육부 장관은커녕 교육자 자격도 박탈"이라고 일갈했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음주운전·폭력·불법파업 등으로 전과 5범이다. 청문회에서는 '북한은 주적이 아니다'라는 발언에 동조했고, 과거 김정일 조문을 시도했던 전력으로 안보관 논란에도 다시 불을 지폈다"며 "민주노총을 위한 대변인 행보만 보이는 인물은 '민노총부' 장관이 더 어울린다"고 꼬아 말했다.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를 겨냥하면서는 "선거법 위반만 다섯 차례, 수억 원대 선거보전비는 미환수 상태"라며 "국회사무총장 시절에는 스스로를 훈장 수훈자로 추천한 '셀프 보훈' 퇴직 후에는 여러 단체에서 '겹치기 고문료 수령' 논란까지 더해다. 보훈부장관은 '보훈을 기리는 자리'지, '보훈을 챙기는 자리'가 아니다"라고 경고했다.
안규백 국방부 장관 후보자에게는 "방위병 복무 기록 논란, 영창 은폐 의혹까지 받고 있다. 병적기록과 징계 내역은 '개인정보'라며 제출조차 거부했다"며 "국방위원장 시절엔 한미일 연합훈련 일정을 SNS에 공개해 '보안체계 무력화' 우려를 샀다. 병역 이력도 떳떳하지 못하고, 안보 감수성도 부족한 자가 대한민국 국군을 책임질 수 있겠느냐"라고 반문했다.
아울러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북한은 주적이 아닌 위협'이라며 '한미 연합훈련은 축소·연기해야 한다'고 주장해 안보 개념을 허물었다"며 "통일부 명칭을 '한반도부'로 바꾸자며 통일 의지도 걷어찼다. 가족 사업과 연관된 태양광 입법으로 이해충돌 의혹이 제기됐고, 위장전입 사실까지 드러났다. 이쯤 되면 '북한 눈치부 장관' 후보자"라고 말했다.
최 수석대변인은 "이재명 대통령은 즉시 '무자격 후보자'의 지명 철회를 선언하고, '무너진 인사' 시스템을 전면 쇄신해야 한다"며 "정권의 코드가 아니라, 국민의 기준이 인사의 출발점이어야 한다"고 피력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