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의제출 받는 형식으로 자료 확보 중
압색 통해 감사원 부실 감사 여부 파악
서울 종로구 감사원 현판. ⓒ뉴시스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대통령실 관저 이전 공사 특혜 의혹'과 관련해 또다시 감사원에 대한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21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감사원에 수사관 등을 보내 관저 이전 특혜 의혹에 대한 감사 자료를 확보 중이다.
특검팀은 자료 확보의 근거와 요건을 갖추기 위해 법원으로부터 압수수색영장을 발부 받기는 했으나, 강제성은 띠지 않고 협조를 받아 임의제출 받는 형식으로 자료를 확보하고 있다.
통상 검찰, 감사원, 국세청 등 주요 사정기관에 대한 내부 자료 필요시 이런 방식이 사용된다. 특검팀은 지난 8월에도 같은 방식으로 두 차례 감사원을 압수수색했다.
특검팀은 이번 압수수색으로 자료를 확보해 관저 이전 특혜 의혹에 대한 감사원의 부실 감사 여부를 들여다 볼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의혹은 윤 전 대통령 취임 후 대통령실과 관저를 이전·증축하는 과정에서 21그램 등 무자격 업체가 공사에 참여하는 등 실정법 위반이 있었단 내용을 골자로 한다. 특검팀은 21그램이 김 여사의 영향력 아래 관저 공사를 따낸 게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21그램은 김 여사가 운영한 코바나컨텐츠 주최 전시회를 후원하고 코바나컨텐츠 사무실 설계·시공을 맡은 업체다. 회사 대표 김씨는 김 여사와 국민대 대학원 동문으로, 2022년 5월10일 열린 윤석열 전 대통령 취임식에서 초청 받기도 했다.
참여연대는 해당 의혹과 관련해 2022년 10월 감사를 청구했다. 이에 감사원은 21그램이 계약 전부터 공사에 착수했으며 15개 무자격 업체에 하도급 공사를 맡겨 건설산업기본법을 위반했다는 등의 지적 사항을 작년 9월에 발표했다.
그러나 감사원이 21그램이 관저 공사 업체로 선정된 경위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으며 부실 감사 논란이 일었다. 특검팀은 지난달 이재명 대통령과 우원식 의장에게 보낸 '수사기간 연장 결정 및 사유 보고' 공문에 부실 감사 의혹을 수사 대상으로 명시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