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유병률은 남성이 더 높지만 비만치료제 임상시험 참여자는 여성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노보 노디스크의 비만치료제 ‘위고비’ 3상 임상 1단계 투여군 1306명 가운데 여성은 73.1%로 집계됐다. 평균 연령은 46세, 평균 체중은 105.4㎏, 평균 체질량지수(BMI)는 37.8㎏/㎡였다.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남성 비만 유병률은 48.8%로 절반에 이르지만 여성은 26.2% 수준이다. 비만율이 높은 남성보다 여성이 임상시험과 약물 사용에서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한 셈이다.
이 의원은 위고비가 체질량지수 30㎏/㎡에 미치지 못하는 환자에게 처방되거나 온라인 불법거래를 통해 오남용되는 사례도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식약처에 따르면 비만치료제 불법판매·광고 적발 건수는 2023년 103건에서 2024년 522건으로 407% 급증했다.
이상사례 보고도 늘고 있다. 위고비 관련 부작용은 2024년 10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총 270건이 보고됐다. 같은 계열의 비만치료제 ‘마운자로’는 올해 8월 시판됐지만 아직 부작용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이 의원은 “위고비, 삭센다, 마운자로 등은 비만환자를 위한 치료제로 쓰일 수 있어야 한다”며 “병의원 처방에 제약업체가 자세한 매뉴얼 제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식약처는 제약업체에 대한 약사감시를 실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