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언론들은 26일(현지시간) 한·미 정상회담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좋은 점수를 받은 것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저서 ’거래의 기술‘을 연구하고 간단없이 칭찬 공세를 펼치며, 방미 전에 일본을 방문해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로부터 조언을 구한 것이 잘 맞아떨어졌다고 호평을 내놨다.
뉴욕타임스(NYT) 이날 한·미 정상회담 관련 분석 기사를 통해 “이 대통령은 ’거래의 기술‘을 공부했고, 김정은에 대한 트럼프의 집착을 파고 들었으며, 칭찬공세로 첫 양자 회담을 무난히 통과했다”고 보도했다.
실제로 이 대통령은 전날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대담에서 “참모들은 ’젤렌스키·트럼프 회담‘과 같은 상황이 벌어지지 않을까 우려하기도 했다”며 “하지만 나는 그러지 않을 것으로 알고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쓴 ’거래의 기술‘을 읽었기 때문”이라며 “상대가 감내하기 어려운 조건을 던지지만, 최종적으로 불합리한 결론에 이르게 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이미 본인이 책에 써놓았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북한과 관련해 “’피스 메이커‘(peace maker·평화 중재자)인 트럼프 대통령만이 북한 문제를 풀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이라는 추켜세웠고, 자신은 ’페이스메이커‘(pacemaker·보조자) 역할을 하겠다고 낮추었다. 기분이 좋아진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 전 자신 소유의 소셜미디어(SNS)에 올렸던 “한국에 혁명과 숙청이 벌어지고 있다”는 등의 글과 관련해서도 “오해였다”고 한발 뺐다.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이 대통령의 준비된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의 환심을 살 만한 것들로 치밀하게 짜여져 있었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은 정상회담 모두발언에 새로 단장한 백악관 오벌오피스(집무실)의 황금 장식에 대해 칭찬한 뒤 트럼프 대통령이 좋아하는 해외 트럼프 타워 건설과 뉴욕증시(다우존스 지수),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 구호 등의 말로 그의 환심을 샀다.
특히 이 대통령은 "북한에 트럼프 타워를 지어 거기서 같이 골프를 쳤으면 좋겠다"는 말해 트럼프 대통령을 흐뭇하게 했다. 폴리티코는 다만 “끊임없는 칭찬 공세에 지켜보는 일부 한국인들에게는 과도하게 느껴졌겠지만, 이제 이런 모습은 외국 지도자들 사이에서 관례가 됐다”고 강조했다.
방미 전 일본에 들러 조언을 구한 것에 대해서도 좋은 평가를 내놨다.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일 협력을 매우 중시하고 있기 때문에 제가 일본 사람들과 미리 만나서 미국이 걱정할 문제를 미리 정리했다”고 설명했다. 폴리티코는 “이 대통령이 방일을 미국의 관세에 공동 대응하려는 차원이 아니라 미국의 안보와 이익에 도움이 되기 위한 것으로 묘사해 트럼프 대통령을 기쁘게 했다”고 전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이 대통령의 발언에 고개를 끄덕이며 "내가 상대하는 일본 사람들이 멋진 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 당신도 마찬가지다“라고 미소짓게 만들어 ”정교하게 활용한 ’미국 우선‘의 수사(修辭)“라고 호평했다. 이어 ”이 대통령이 방일에서 앞서 트럼프 대통령을 두 번씩이나 대면한 이시바 총리에게 적잖은 조언을 받았을 것“이라는 부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