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료 회당 4억, 또는 5억설이 불거지면, 해당 배우를 향해 비난의 화살이 돌아간다. 배우에게 이 금액이 적절한지 갑론을박이 벌어지는가 하면, 이 과정에서 당사자를 비난하는 은근한 악성 댓글도 이어지곤 한다.
이에 일부 배우들은 이를 부인하고 나서기까지 하지만, 드라마 시장의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은 필요하다.
박형식은 최근 KBS2 토일드라마 ‘트웰브’에서 회당 4억을 받았다는 보도가 나오고, 비난이 이어지자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구체적인 금액은 언급하지 않았지만, 언론을 통해 노출된 박형식 출연료는 사실과 다르다고 짚으며 “기정사실화 돼 입장을 전한다”고 말했다.
앞서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에 출연한 배우 아이유도 회당 5억설이 제기되자 “사실무근”이라고 해명한 바 있었으며, 시즌1의 성공으로 회당 10억원의 출연료를 챙겼다는 추측이 이어진 이정재는 “(출연료를) 많이 받은 것도 사실”이라면서도 “오해가 있는 것 같다. 회당 역대 최고 출연료인진 잘 모르겠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반복되는 스타들의 출연료 논란이 보여주는 우려점은 명확하다. 박형식이 회당 4억을 받지는 않았더라도, 배우 마동석과 박형식, 서인국 등 ‘스타 캐스팅’으로 관심을 유발한 ‘트웰브’는 질적인 부분에선 ‘불합격’을 받아 1~2%대의 시청률을 기록했었다. 결국 ‘트웰브’가 화려한 캐스팅에 어울리는 완성도를 보여주지 못하면서, 일부 주연 배우들의 높은 몸값이 결국 콘텐츠의 완성도를 저해하는 요소가 된 것 아니냐는 우려를 자아낸 것이다.
특히 ‘트웰브’ 종영과 맞물려, 연상호 감독의 영화 ‘얼굴’이 출연료 대신 퀄리티에 방점을 찍으며 더욱 비교가 됐다. 이 작품에는 배우 박정민, 권해효, 신현빈 등 영화계에서 입지 탄탄한 배우들이 출연했음에도, 다수의 배우들이 노개런티 또는 최저 출연료만 받으며 우선 작품의 완성도를 극대화하는데 힘을 보탰던 것. 이에 2억원 내외로 영화를 완성한 ‘얼굴’은 개봉과 동시에 손익분기점을 돌파하는 성과를 낼 수 있었다.
여기에 손익분기점 돌파 이후에는 배우, 스태프들이 러닝개런티(출연료 대신 흥행 보수를 지급하는 방식)를 통해 수익까지 확보, 치솟는 제작비에 어려움을 호소 중인 콘텐츠 시장에 하나의 ‘새 모델’이 될 수 있다는 희망까지 유발했다.
물론, 연 감독이 아니면 불가능한 사례라는 의견이 팽배하다. 우선은 초저예산으로 완성도 높은 작품을 만드는 것은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그간 여러 장르물을 통해 경험을 쌓은 연 감독의 역량, 그리고 꾸준히 구축해 온 그의 세계관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성과라는 것이다.
또한 일부 스타 배우가 아닌 조·단역 배우들에게 러닝개런티는 지나치게 ‘불확실한’ 면이 있다. 한 작품, 한 작품이 곧 생계로 연결되는 이들에게까지 이 같은 방식을 요구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마냥 ‘좋은’ 방향으로만 이어질 수는 없다는 반응도 있었다.
그럼에도 드라마 시장의 지나친 불균형 문제는 해소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앞서 불거진 회당 4억설, 5억설은 “사실이 아닐” 수 있지만, 결국 지나치게 높아진 스타 배우들의 출연료가 드라마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다만 ‘범인 색출’을 통해 비난 여론을 조성하거나, 출연료 상한제를 통해 강제적으로 출연료를 제한하기보다는 작품의 규모 또는 색깔에 맞는 선택을 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한 방송 관계자는 “일부 스타 배우들이 출연료를 낮추면, 당장 드라마 시장에 도움은 될 수 있다. 다만 그것이 근본적인 해결 방법이 될 수는 없다고 여긴다”면서도 일부 과하게 형성된 거품은 걷어낼 필요는 있으며 ‘얼굴’의 사례처럼 작품에 맞는 새 시도가 나오는 것은 반갑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