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태, 전당대회 출마 선 그었지만
마지막 날까지 '개혁' 의지 거듭 피력
쉽지 않은 현실에 '관망' 필요성 진단도
국민의힘이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의 임기 종료와 함께 전당대회 전까지 송언석 원내대표가 비상대책위원장을 겸직하는 '송언석 비대위 체제'로 전환한 가운데, 김용태 비대위원장의 당권 도전 여부에 정치권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김용태 비대위원장이 임기 마지막날까지 당의 개혁 의지를 거듭 강조하며 전당대회 출마 가능성에 힘이 실리는 모양새다.
김용태 비대위원장은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서 '보수 재건의 길'이라는 주제로 퇴임 기자회견을 열고 "이 당에 오랫동안 자리 잡고 있는 깊은 기득권 구조가 있다면, 그리고 그 기득권이 당의 몰락을 가져왔으면서도, 근본적 변화를 가로막고 있다면, 국민의힘에 더 이상의 미래는 없다"고 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근본적 개혁을 원치 않는 표면적인 혁신의 구호들에 많은 동료 의원분들이 답답함을 느끼고 있음을 또한 알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나는 비관하지 않겠다. 보수의 개혁은 반드시 이루어질 것이다. 그것이 국민의 뜻이고 당원들의 뜻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지금 우리는 전당대회를 준비하면서도 새로운 보수의 힘을 키울 때"라며 "근본적인 반성과 새로운 다짐으로 결연 한 뜻을 모아 새로운 보수정당, 따듯한 보수로 거듭날 때"라고 강조했다.
회견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는, 대선 이후 국민의힘의 개혁 의지를 점수로 매겨 달라는 질문에 "빵점"이라고 단호하게 답했다.
전당대회 출마 여부에 대해서는 "지금 내 역할이 전당대회 출마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선을 긋기도 했다. 다만 그는 "개혁 방향이나 탄핵의 강을 넘을 확실한 주자가 있다면 함께 걷겠다"며 "나는 물러가지만 제2, 제3의 김용태가 함께 할 것이다. 개혁 가치를 공감하는 세력이 연대해 계속해서 기득권과 맞서 싸울 것"이라고 여운을 남기기도 했다.
공식적으로 불출마를 선언했지만, 일각에선 여전히 그의 출마 가능성을 배제하긴 이르다는 관측도 나온다. 전당대회 출마 예상자 중에선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나경원 의원 등 쇄신 이미지와는 거리가 먼 인사들이 거론되는 만큼, 개혁 의지를 접지 못한 김 비대위원장이 명분을 잡고 나설 수 있단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김 비대위원장의 당권 도전이 오히려 정치적 부담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따라서 현재는 상황을 신중히 관망할 필요가 있다는 진단이다. 한동훈 전 대표가 출마하지 않더라도 친한(한동훈)계와의 연대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데다, 과거 임기 중처럼 구주류 세력에 다시 휘말릴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친윤(윤석열)계 의원들이 (김 위원장이 당권에 도전한다면) 계속 흔들텐데, 당선된다 하더라도 흔들리는 상태로 지방선거까지 치르게 된다면 본인에게도 좋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재건축을 하기 위해서는 아파트를 부숴야 하는데, 본인 의지가 있든 없든 세가 없고, 잘못하다가는 또 친윤들에게 당하거나 하는 일들이 벌어질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일단 김 비대위원장은 상황을 관망할 필요가 있다"며 "개혁을 시도했지만 주류 의원들의 벽에 가로 막혀 피해자가 됐다는 이미지를 갖고 가는 게 정치적으로 유리하다. 젊은 나이에 앞이 창창한데 굳이 서두를 필요가 있겠느냐"고 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