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는 올해 외국의 보호무역주의 공세에 대비한 맞춤형 대응 방안을 강화해 나간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12일 “전세계적인 보호무역주의 기조로 우리 수출품에 대한 반덤핑, 상계관세, 세이프가드 등 수입규제조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본부 수입규제대책반 등 관계부처와 체계적인 협력을 강화해 나가고, 인프라·전문성 심화 노력을 지속할 것” 이라고 밝혔다.
외교부는 14개의 재외공관에 소재한 현지대응반의 △우리 진출기업 대상 수입규제 대응방안 설명회·간담회 개최, △동향 상시 모니터링 및 △주재국 규제당국과의 협의 등을 통해 현장 중심 수입규제 대응을 더욱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아세안(ASEAN), 터키 등 주요국 수입규제 가이드북을 발간하고 품목별(철강·화학섬유 등) 수입규제 대응 설명회를 개최해 중소기업을 비롯한 우리기업의 대응역량 강화를 적극 지원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외교부는 앞서 지난 한 해 동안 수입규제대책반과 재외공관 소재 현지대응반을 중심으로 정부 서한 발송, 조사당국 면담, 공청회 참석 등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해 조사·조치 종결 및 관세 경감 등의 성과를 거둔 바 있다고 강조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수입규제대책반장 파견, 정부서한 전달, 고위급 면담 시 의견개진 등을 통해 유럽연합(EU)의 PTA 반덤핑 조사에 적극 대응했다”며 “이를 통해 EU 조사를 종결시키는 결정을 이끌어내 연 5600억원의 우리 수출시장을 유지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