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100일' 21th 부산국제영화제, 갈 길 멀다

김명신 기자

입력 2016.06.23 14:08  수정 2016.06.23 14:41

부산시와 갈등 속 김동호 추대 겨우 봉합

출품작 선정-영화계 보이콧 철회 '촉박'

23일 서울 상공회의소 회의실에서 부산국제영화제 기자회견이 열렸다. ⓒ 연합뉴스

부산시와 갈등 속 김동호 추대 겨우 봉합
출품작 선정-영화계 보이콧 철회 '촉박'


잡음 속 제21회 부산국제영화제(BIFF)가 출항했다. 첫 민간조직위원장으로 선출된 김동호 조직위원장은 “무슨 일이 있어도 빠른 정관개정을 통해 올해 영화제를 성공적으로 치르겠다”며 강한 의지를 피력했다.

올해 부산국제영화제는 10월 6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열흘 간 대장정을 치른다. 영화제 측과 부산시의 첨예한 갈등으로 올해 영화제 개막이 불투명했던 가운데 지난 5월 24일 김동호 민간조직위원장 추대를 시작으로 극적으로 타협, 본격적인 준비 작업에 착수했다.

김동호 첫 민간조직위원장 추대…"올해 반드시 개최"

앞으로 100여일이 남았다. 영화제 출품할 작품 선정도 해야 하고 정관개정도 해야 하지만 무엇보다 시급한 건 국내 영화인들의 보이콧을 철회시키는 일이 급선무다.

23일 서울 중구 상공회의소 회의실에서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강수연 집행위원장은 “한국 영화인들의 보이콧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한국 영화 없이 영화제가 치러지는 것이 아니냐, 한국 영화 없이 영화제를 치러도 되지 않느냐 등의 의견들이 이어지고 있는데 말도 안되는 소리다. 국적 없는 영화제를 만들 수는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국내 영화계에서 보이콧을 선언한 일련의 배경에는 2014년 영화 ‘다이빙벨’을 둘러싼 영화제 측과 부산시의 갈등으로 시작됐다. 이후 올해 초 이용관 전 조직위원장의 재선임을 앞두고 부사시가 감사원의 특별 감사 결과에 따라 영화제 협찬금 중개수수료 의혹과 관련해 이용관 집행위원장 및 관계자 3명을 검찰에 고발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양측은 갈등은 폭발했다.

이 과정에서 강수연 집행위원장 홀로 남게 됐고, 국내 영화인들은 ‘표현의 자유’ ‘영화제에 외압 철회’ 등을 요구하며 반발했다. 그러면서 정관개정을 둘러싼 자문위원 갈등이 심화 되면서부산시는 부산지방법원에 신규 자문위원 위촉의 효력을 정지해달라는 가처분 신청을 냈고, 영화계는 즉시 반발, 영화인들은 부산국제영화제 지키기 범 영화인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범 영화인 비대위)를 설립하기까지 했다.

이들은 서병수 시장의 조직위원장 사퇴, 영화제의 자율성과 독립성 보장하는 정관 개정 등을 요구하며 보이콧에 돌입했다. 그러나 민간조직위원장 추대를 둘러싼 갈등 등이 여전히 이어졌고 그런 가운데서 지난 5월 초 극적으로 김동호 명예집행위원장을 첫 민간조직위원장으로 추대하는데 합의했다.

23일 서울 상공회의소 회의실에서 부산국제영화제 기자회견이 열렸다. ⓒ 연합뉴스

이날 김동호 조직위원장은 “지난 1년 8개월 간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 표현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 노력해온 분들과 성원을 보낸 국내외 영화인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본의 아니게 명예를 훼손당했거나 또는 고초를 겪은 스폰서들, 집행위원 자문위원들께도 머리 숙여 사과한다”고 말문을 열었다.

김 조직위원장은 “나와 함께 부산영화제를 창설하고 지난 20여년 간 영화제를 위해 힘써온 이용관 전 집행위원장 등이 사법부 심판에 맡겨져 안타깝고 선처가 있길 바란다”면서 “이들의 명예회복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 한다”고 일련의 사태에 대해 언급했다.

더불어 “지난 20여년 간 부산국제영화제가 일관되게 지켜온 정치적 독립성과 정체성을 지켜나갈 것이다. 지원은 받되 간섭은 받지 않겠다. 또한 영화제에서 작품 선정에 있어서는 누구도 간섭하지 않고, 집행위원장과 프로그래머가 자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보장할 것이다. 이런 것들을 기초로 해서 정관 개정 작업을 가능한 한 빠르게 해서 영화제 작품 선정 작업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국내 영화계 보이콧과 관련해서는 “이들이 다시금 영화제에 동참을 하기 위해서는 명분이 있어애 한다. 그 명분을 주는 것이 급선무”라면서 “늦어도 7월 말까지는 정관개정을 통해 그 명분을 주도록 할 것이다. 20년 성장통을 딛고 새로운 20년을 도약을 할 수 있는 정과개정을 반드시 이루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강수연 집행위원장 역시 “지난 해 20회를 겪으면서 위기 아닌 위기를 겪었다. 위급한 상황에 투입됐지만 무사히 영화제를 치렀고, 또 다시 이런 위기가 올 것이라고 상상도 하지 못했다”면서 “불과 한 달 전까지만 해도 영화제 개최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다행히 김동호 민간조직위원장을 추대하는 데 합의를 했고, 올해 영화제를 치르게 됐다”고 상황을 전했다.

강 집행위원장은 “여전히 국내 영화계 보이콧이 이어지고 있다. 이를 철회하고 정관개정을 해야 올해 영화제 개최가 가능하다. 다른 상상은 하지 않고 강력하게 밀고 나가겠다”면서 “처음으로 민간조직위원장을 추대한 만큼 영화제 독립성을 위한 첫 단추가 되리라 기대한다. 올해 영화제가 치러지지 않으면 다음도 기약할 수 없다. 부산국제영화제가 있어야 싸울 수 있다. 21회 부산국제영화제를 무사히 치를 수 있도록 관심과 협조 부탁드린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여전히 국내 영화계의 보이콧은 이어지고 있고, 작품 선정을 비롯한 준비 기간은 예년보다 늦어진 탓에 촉박하다. 최악의 조건에서 첫 민간조직위원장을 추대하며 새로운 도약을 꿈꾸고 있는 부산국제영화제가 올해 무사히 영화제를 치를 수 있을지, 20살 성장통을 겪고 있는 부산영화제의 행보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김명신 기자 (sini@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