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검찰 감사원 등 수장 공백까지 삼중고 헤쳐나갈 방법 모색
채동욱 전 검찰총장에 이은 진영 전 보건복지부 장관의 사퇴로 청와대가 난관에 봉착했다. 당장 보름여 앞으로 다가온 국정감사가 가장 큰 걱정이다. 개별부처의 국정운영, 정책평가 등과 별개로 정권의 인사와 조직관리 등에 감사의 초점이 맞춰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이미 국감과 관련해 선전포고를 한 상황이다. 당 원내대표를 지냈던 박기춘 민주당 사무총장은 1일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열린 ‘24시 비상국회 운영본부회의’에 참석해 “박근혜정부의 첫 국정감사 데뷔무대에서는 우리 민주당의 24시 비상운영본부의 맹활약이 어느 때보다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박 총장은 이어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박근혜정부의 지난 8개월”이라며 “무능한 청와대, 무기력한 집권당에 경종을 울려야 한다. 국민도 속고 야당도 속은 빗나간 상황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야권은 국가정보원 선거개입 의혹, 기초연금 공약 수정, 양건 전 감사원장 사퇴, 채동욱 전 검찰총장 사퇴, 진영 전 복지부 장관 사퇴 등에 대해 진상을 파악하고, 책임을 묻는다는 방침이다. 상임위원회별로는 해당 사안들의 소관 상임위인 정보위·보건복지위·법사위·안정행정위 등에서 격전이 예상된다.
이 때문에 이번 국감은 국회가 행정부의 국정수행이나 예산집행 등에 대해 벌이는 감사활동이라는 본래 취지에서 벗어날 소지가 크다. 오히려 국정의 특정 분야에만 치우쳐 정부를 비판함으로써 정부와 집권여당을 싸잡아 공격하고, 여야 대치구도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야권의 정쟁 도구로 악용될 수 있다.
박근혜정부 첫 국정감사를 앞두고 고민이 많다. 청와대는 의혹이나 비판 등에 대해서는 각 주무부처가 저우 입장을 잘 설명하면서 국감을 풀어나갈 방침이다. 사진은 박근혜 대통령 주재의 수석비서관 회의 장면 ⓒ청와대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