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강력한 수사적 표현을 이용해 단호히 규탄"
미북대화, '핵군축 회담'으로 끌어가려는 의도인듯
최선희 북한 외무상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최선희 북한 외무상이 미국을 비롯한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원칙을 재확인하는 성명을 낸 것에 대해 "가장 강력한 수사적 표현을 이용하여 단호히 규탄 배격한다"고 밝혔다.
최 외무상은 'G7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권적선택을 거스를 권리가 없다' 제목의 담화에서 이렇게 주장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4일 보도했다. 이번 담화는 주민들이 보는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에도 실렸다.
최 외무상은 "우리 국가 헌법에 대한 직접적 침해로 되는 G7 외무상들의 로(노)골적인 적대적 행위에 강한 불만과 유감을 표시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세인이 실현 불가능한 개념이라고 인정하는 '비핵화'를 아직까지도 습관적으로 합창하는 G7의 타성적인 집념은 스스로를 국제사회의 변두리로 몰아가고 자기들이 국제관계의 한구석에 놓이는 소외된 소수 이익집단임을 증명해 보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현 지위는 외부의 수사학적주장에 따라 달라지지 않으며 오늘의 엄혹한 지정학적 환경 속에서 핵 보유는 가장 위험하고 적대적인 국가들을 억제할수 있는 가장 정확한 선택"이라고 주장했다.
최 외무상은 "외부의 핵위협이 종식되지 않는 한, 핵을 폭제의 수단으로 삼고 절대적인 패권을 추구하는 세력이 존재하는 한 핵보유를 영구화한 헌법에 끝까지 충실함으로써 국가와 인민의 현재와 미래를 담보하고 국제적 정의를 실현하려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의지는 확고부동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조선반도(한반도)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는 길은 비현실적인 '비핵화'를 주창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헌법을 존중하는 데 있다"며, G7을 "세계 최대의 핵보유국을 위시하여 핵으로 연결되고 결탁된 핵동맹집단"이라며 북한을 겨냥한 비핵화 요구가 "현실도피적이며 이중기준적인 처사"라고 맹비난했다.
앞서 G7 외교장관은 지난 12일(현지시간) 캐나다에서 회동 후 공동성명을 내고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
이날 북한이 이같은 G7의 비핵화 요구를 강력히 담화를 통해 견제한 것은 핵보유국 지위를 기정사실화해 향후 재개될 수 있는 북미대화를 핵군축 회담으로 끌어가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한은 핵보유를 단기적인 전략이 아닌, 국가와 인민의 미래를 담보하는 장기적인 전략으로서의 비전을 제시한 것"이라며 "핵보유는 단순한 현상 유지용이 아닌 미래 지향적인 접근임을 지속적으로 시사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앞으로도 어느 나라든 '비핵화'라는 단어를 쓰는 한, 북한은 오히려 이 기회를 '우리는 핵보유국'이라는 것을 홍보하는 반격의 계기로 활용하려는 의도가 있다"며 "북한은 핵 보유의 국가헌법 명문화를 단순한 외교 정책이 아닌 국가의 기본법적 요소로 만들어, 외부의 비핵화 요구에 대한 반박의 근거로 활용했다"고 밝혔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는 "중러의 뒷배하에 국제사회의 비핵화 여론확산을 차단하고 대북제재의 무용론과 핵보유국의 정당화에 집중하겠다는 의도"라며 "비판대상에 미국을 직접 거명하지 않는 점, 핵위협론, 핵보유 헌법화론을 강조한 것은 핵보유국 대 핵보유국이라는 북미간 핵군축협상을 염두에 둔 듯"이라고 해석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