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분해성 플라스틱’ 분해 15배 단축하는 미생물 발견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입력 2025.10.02 09:51  수정 2025.10.02 09:52

국립생물자원관, 국내 토양서 확인

국립생물자원관 전경. ⓒ국립생물자원관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유호)은 국내 토양에서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분해시간을 국제표준(IOS)과 비교했을 때 15배 이상 단축하는 미생물을 확보했다고 2일 밝혔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해부터 김동현 경북대 교수 연구진과 공동으로 진행 중인 ‘특수환경 미생물자원 확보 및 자생생물 특성분석 사업’을 통해 국내 미기록 세균인 로세아텔레스 디폴리머란스 균주를 발견했다.


이 균주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로 널리 사용되는 ‘폴리부틸렌숙신산염(PBS)’과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를 분해하는 활성을 보였다.


연구진이 이 균주를 폴리부틸렌숙신산염 필름에 처리해 10일간 관찰한 결과, 필름의 약 74%를 원료물질 상태로 분해해서 자신의 성장에 이용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기존 국제표준에서 제시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분해시간을 약 15~22배 단축시켰다.


연구진은 관련 연구 결과를 지난달 29일에 특허 출원했다. 응용 미생물 분야 국제학술지인 ‘저널 오브 마이크로바이올로지 엔드 바이오테크놀러지’에 논문을 투고할 예정이다.


유호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이번 연구는 국내 자생미생물을 활용해 생분해성 플라스틱 폐기물의 친환경적 처리를 위한 과학적 기반을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도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유용 미생물자원 발굴에 지속적으로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