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삼성 이어 미래에셋까지…업계 소각 확산
배당 제약 탓에 자사주 소각 선호…선제 검토 늘어
민주당 ‘3차 상법 개정’ 착수…의무화 추진 방침
국회가 오는 9월 정기국회에서 자사주 소각 의무화 법안을 논의하기로 하면서, 보험업계의 주주환원 전략에도 변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데일리안 AI이미지 삽화
국회가 오는 9월 정기국회에서 자사주 소각 의무화 법안을 논의하기로 하면서, 보험업계의 주주환원 전략에도 변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미 자사주 소각을 검토·실행하는 흐름이 포착되며 ‘소각시대’ 진입이 가시화되고 있다.
27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메리츠화재를 보유한 메리츠금융지주·삼성화재에 이어 미래에셋생명도 자사주 소각을 준비하고 있다. 구체적 규모와 시점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연말 실적과 시장 여건을 보며 검토 범위를 좁혀갈 것이라는 관측이다.
메리츠금융은 지난 3월 5500억원 규모 자사주를 매입한 데 이어 이달 7000억원 규모 취득 신탁 계약을 체결했다. 앞서 확보한 물량은 오는 29일 전량 소각할 계획이다.
삼성화재도 지난달 ‘2028년까지 주주환원율 50% 달성, 자사주 보유 비중 5% 미만 축소’ 방침을 내놓으며 사실상 단계적 소각 계획을 공식화했다. 미래에셋생명도 소각 검토를 공식 언급하며 연말 이후 실행 여부를 가늠할 전망이다.
보험사들이 배당 대신 소각에 무게를 두는 데는 구조적 이유가 있다. 계약자 환급 재원을 쌓아야 하는 해약환급준비금과 자본적정성 지표인 지급여력(K-ICS·킥스) 비율 관리 부담으로 배당 확대가 쉽지 않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도 소각을 선제적으로 시행하거나 검토하는 곳이 늘고 있다.
이 같은 업계 흐름은 정치권 논의와도 맞물린다. 더불어민주당 코스피5000특별위원회는 전날 국회 토론회에서 취득 즉시 소각하거나 1년 내 소각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정기국회에서 논의·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오기형 위원장은 상법·자본시장법 중 입법 경로를 조율해 추진하겠다고 했으며, 김남근 의원도 “10% 이상 자사주를 보유한 기업이 200개가 넘는다”며 남용 방지 차원의 제도 정비 필요성을 강조했다. 다만 해당 법안들은 현재 발의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상임위·법사위·본회의 심사를 거쳐야 최종 확정된다.
보험업계 안팎에서는 이번 흐름을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정부도 주주환원 확대 방향으로 가고 있고, 증시로 투자 자금이 몰리는 분위기라 보험사들도 투자 매력을 높일 제안을 내야 한다”며 “주주환원 강화와 제도 변화가 맞물리면 증시와 업계 모두에 상생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결국 보험업계의 ‘소각시대’는 자율적 선택에서 시작해 제도적 변화와 맞물리며 전반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또 다른 관계자는 “자사주 소각은 주주가치 제고와 자본시장 활성화를 동시에 견인하는 긍정적 효과가 크다”며 “업계의 주주환원 기조가 한 단계 진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