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토론] 야당 없애겠다는 與 대표 후보들…정청래·박찬대, 막판 '선명성 경쟁'

김찬주 기자 (chan7200@dailian.co.kr)

입력 2025.07.30 04:10  수정 2025.07.30 04:10

30일 민주당 대표 후보 3차 TV토론회

鄭 "정당해산심판 청구" 朴 "내란청문회"

조국 사면론엔 "李대통령 판단 존중해야"

鄭, 대의원·당원 '1인 1표'에…朴 "섣불러"

정청래(왼쪽),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가 29일 오후 서울 마포구 MBC에서 열린 TV토론회에서 악수를 하고 있다. ⓒ뉴시스

더불어민주당 차기 당대표를 뽑는 8·2 전당대회가 사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경쟁에 나선 정청래·박찬대 후보(기호순)가 마지막 TV토론회에서 국민의힘을 향한 총공세에 집중했다. 권리당원 투표 비율이 55%에 달하는 만큼, 강성 당원들의 표심을 확보하기 위한 선명성 경쟁에 치중한 것으로 보인다.


두 후보는 29일 오후 11시 20분부터 30일 자정을 넘어 MBC에서 진행된 당대표 후보 토론회에서 자신이 내란을 종식할 적임자라고 강조했다. 정 후보는 '국민의힘 정당해산심판 청구'를 하겠다고 밝혔고, 박 후보는 '12·3 내란 청문회' 추진 의지를 드러내는 등 사실상 국민의힘의 존재 가치를 부정한 셈이다.


정청래 후보는 "내란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윤석열은 탄핵·파면 됐지만 지금도 수사에 응하지 않고 거부하고 있다"며 "국민의힘 연루자들이 몇 명이나 얼마나 연루되어 있는지도 아직 모른다. 내가 헌법재판소법 개정안을 냈는데, 통합진보당 사례를 보면 국민의힘은 내란당 혐의를 벗기 어렵기 때문에 위헌심판 청구로 정당해산을 할 수 있다는 국민적 요구가 올라올 것"이라고 말했다.


박찬대 후보는 '12·3 내란 청문회'를 추진하겠다며 막판 선명성을 드러냈다. 그는 "내가 윤석열·김건희 등 모든 내란 세력이 다시는 햇빛을 보지 못하게 하겠다"며 "내란 수괴 윤석열을 체포할 때 방해했던 국민의힘 의원 45명, 또 후보 바꿔치기를 하려고 하고 공직선거법상 심각한 문제를 일으켰던 권영세·권성동·이양수 국민의힘 의원에 대해 제명촉구결의안을 냈다"고 설명했다.


이어 "나는 내란종식특별법으로 감옥에 있을 윤석열·김건희를 국회로 호출해서 제2의 5공 청문회를 반드시 열겠다"며 "또 한편으로 진실을 규명하고 국민 가슴의 응어리를 시원하게 풀겠다. (앞서 내가) 검찰 과거사위원회도 만든다고 했는데 '검찰 7대 정치조작 사건 청문회'를 9월과 10월 2주동안 개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조국 당시 조국혁신당 대표가 지난해 11월 2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대화를 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두 후보는 8·15 광복절을 앞두고 여권 내 부상한 조국 조국혁신당 전 대표에 대한 사면 필요성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정청래 후보는 "조 전 대표를 옹호하고 동지적 관점에서 그에게 많은 응원을 했으나 책임 있고 직책 있는 당대표로서 특수 권한에 대한 왈가왈부는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대통령이 어련히 잘 판단하지 않겠느냐"고 했다.


박찬대 후보도 "사면권은 대통령의 고유권한으로 당에서 사면권과 관련한 부분에 있어 공식 입장을 밝히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이재명정부 초기 아니냐. 인사권자·사면권자의 입장을 충분히 존중하고, 의견을 자제하고, 다른 방식으로의 전달이 적절하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한·일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과거사 청산'이 우선돼야 한다는 데 대해서도 의견을 모았다. 정청래 후보는 "대통령은 국가 원수이자 행정부 수반이며 외교 주체이기 때문에 신중하게 발언하고 정제된 언어를 써야 한다"면서도 "당은 과거사·독도·위안부 등의 문제에 대해 전향적으로 검토하지 않는 일본에 대해 긴장의 끝을 놓치지 않고 강하게 경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찬대 후보도 "전적으로 공감하고, 한·일관계의 진정한 정상화는 역사적 책임 위에서만 가능하다"며 "정부는 과거사 문제에 있어선 원칙 있게 (일본을) 상대하고 경제·안보 협력에 있어선 실용성을 추구하는 '케이스 바이 케이스' 방식의 국익 최우선 외교를 펼쳐야 한다. 당은 분명한 기조를 보이며 과거사 청산 선행을 요구해야 한다"고 했다.


남북관계에 있어서는 대체로 유화책이 필요하다는 점도 공감대를 형성했다. 정청래 후보는 '10월 말 우리나라 경주에서 열리는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초청할 필요가 있느냐'는 질문에 "당연히 초청해야 한다"며 "올 지 안 올 지는 우리가 따지지 않고, 인내력을 가지고 남북 관계 대화를 시도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찬대 후보는 "아직 갈 길이 멀지만 (APEC에) 올 지 안 올 지는 북한이 판단하겠지만 일단 초청해야 한다"며 "남북관계를 개선하는 것이 우리나라의 경제 문제도, 남아있는 성장의 문제도 달려있다고 생각한다. 때를 얻든 못얻든 두드려야 하는 것이 남북관계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청래(왼쪽),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가 29일 오후 서울 마포구 MBC에서 열린 TV토론회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시스

두 후보는 중국이 서해 잠정조치수역(PMZ)에 인공구조물을 설치한 데 대해서는 강력 대응 입장을 전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해 당대표 시절 22대 총선에서 윤석열정부의 대중 외교 정책을 비판하며 "왜 중국에 집적거리나. 그냥 셰셰, 대만에도 셰셰 이러면 된다"라고 말해 불거진 친중 논란과 궤를 달리하는 발언이다. 다만 두 후보의 발언 배경은 대통령과 당대표의 스탠스가 달라야 한다는 점을 피력한 것으로 보인다.


정청래 후보는 "국가의 구성 요소는 국민·주권·영토로 국민이 없으면 나라가 없다. 영토는 굉장히 중요하다"며 "해양 주권을 지키는 문제는 국가와 대통령의 기본적 책무다. 중국과 우리는 중요한 무역 교역국이고 잘 지내야하는 것은 맞지만, 동북공정은 용납할수 없다. 정치는 정치고, 경제는 경제고, 영토는 영토"라고 강조했다.


박찬대 후보도 "국익 앞에 양보는 없다. 특히 영토 문제는 단호하게, 넘보지 못하게 해야 한다"며 "대만과 통상문제로 미·중 간의 갈등이 있기도 한데, 이런 상황을 십분 활용해야 한다. 중국이 대만과도 싸우고 한국과도 싸우기엔 상당한 부담이 있지 않겠느냐"라고 말했다. 우리나라 이익을 위해 외교적 줄다리기를 적절히 구사해야한다는 점을 피력한 것으로 보인다.


정청래(왼쪽),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가 29일 오후 서울 마포구 MBC에서 열린 TV토론회에 참석해 있다. ⓒ뉴시스

내란종식·조 전 대표 사면·한일관계·한중관계 등에 있어 의견을 같이 하던 두 후보의 마찰은 '대의원 권한 축소' 여부를 두고 불거졌다. 정청래 후보가 전당대회에서 대의원이 행사하는 투표수가 17표인 반면, 권리당원이 1표라는 것은 비민주적이라고 지적하자, 박찬대 후보가 당원과 국회의원·대의원 모두의 의견을 수렴해야한다고 반박하면서다.


정청래 후보는 "대한민국 모든 선거는 1인1표인데,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대의원은 17표고 권리당원은 1표"라며 "대의원제는 유지하되 대의원에 가중치를 주는 것은 없애야 된다. 그래서 1인 1표 시대를 열어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에 박찬대 후보는 "대의원 1표와 당원의 1표가 1대1로 수렴돼 가는 것은 민주당의 지향이고 방향이라는 것은 분명하다"면서도 "어느 단계, 절차를 거쳐서 갈 것인가 그 부분만 당원들의 목소리, 국회의원들의 목소리, 대의원들의 목소리를 수렴해서 결정하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두 후보는 토론회가 종료된 이후에도 대의원·권리당원 표의 등가성을 놓고 이견을 보였다. 정청래 후보는 토론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아쉬웠던 것은 (대의원 권한 축소 관련) 속도와 시기 조절이 필요한 것 아니냐는 (박 후보) 입장"이라며 "1인 1표 시대는 당장 열어야 한다. 대한민국 모든 선거는 1인 1표"라고 거듭 강조했다.


박찬대 후보는 "당원 한사람의 표가 대의원 한사람의 표와 1대 1 수렴하는 건 우리 정당의 지향이고 당이 가는 방향"이라면서도 "(정 의원 주장대로) 당장 시행하는 건 민주적 절차가 아니다. 우리가 정책을 낼 때 의견을 수렴해서 컨센서스를 만들어 가는 것처럼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등가성을 어떻게 해나갈 것인가 당연히 절차를 밟아야 한다"라고 부연했다.


한편 이번 전당대회 당대표 선거는 내달 2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최되며, 당대표는 권리당원 55%·대의원 15%·일반 여론조사 30%를 합산해 선출한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김찬주 기자 (chan72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