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외통위 통일부 장관 인사청문회
"NSC 등을 통해 한미훈련 논의할 것"
APEC에 김정은 초청하면 "경사스럽다"
북한 주적에 "동의하지 않아" 선그어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2018년 한반도에 봄을 열었던 것이, 평창올림픽을 앞두고 2017년 말 당시 문재인 대통령이 '3월로 예정된 한미 군사연습을 연기하겠다. 이것을 미국에 제안하겠다'고 한 것이 (대화의) 물꼬를 텄던 것은 중요한 함의가 있다"고 밝혔다.
정동영 후보자는 14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한미 연합훈련에 관한 조국혁신당 소속 김준형 의원의 질의에 대해 "앞으로 NSC(국가안전보장회의) 등을 통해 논의해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통일부 명칭 변경에 대한 윤후덕 더불어민주당 의원 관련 질의에는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에서 여야가 함께 의논해야 할 아주 중요한 사안"이라고 밝혔다.
정 후보자는 "한반도부가 (통일부 명칭의) 대안 중 하나"라며 "통일부 명칭 변경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두 개 국가론'을 헌법에 반영하라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시가 이행돼 북한의 헌법이 개정됐는지에 관해 정 후보자는 "아직 헌법에 반영하지는 않았다. 아직 헌법에 반영된 것은 없다"고 답변했다. 구체적인 근거는 제시하지 않았다.
오는 10월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옵서버로 초청할 생각이 있느냐는 김기웅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만일 그런 국면이 된다면 얼마나 좋겠느냐"고 답했다.
그러면서 "4개월 뒤에 그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지금부터 속도를 내서, 또 말씀하신 대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정상회담이 이뤄진다면 아마 극적으로 가능성은 높아질 수 있다"면서 "APEC이 한반도 평화의 테이블이 된다면 얼마나 경사스러운 일이고 그 의미가 빛나겠느냐"고 말했다.
북한이 대한민국의 주적이냐는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는 "동의하지 않는다"며 "위협"이라고만 답했다.
정 후보자는 북한이 미사일을 쏠 수 있는 상황임에도 '위협일 뿐'이라고 인식하는 것이냐는 김 의원의 질의에 "쏠 필요가 없는 상황을 만들어가는 것이 우리 정부가 할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