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걸·추미애·신경민 주최 '거리 나온 일베 어떻게 볼 것인가' 토론회
신경민 "더 이상 무시하고 찌질하다고 폄하하는 데 머물 수 없는 수준"
새정치민주연합이 10일 이른바 ‘일베(일간베스트저장소) 현상’을 일본의 온라인 우익단체인 ‘재특회(재일특권을 허용하지 않는 시민모임)’, 미국의 백인우월주의 테러단체인 ‘KKK(Ku Klux Klan)’의 혐오발화 현상과 비교하며 ‘혐오범죄 처벌법’을 입법화하는 등 사회·정치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종걸 새정치연합 의원은 이날 추미애·신경민 새정치연합 의원과 국회 의원회관에서 공동 주최한 ‘거리로 나온 일베 어떻게 볼 것인가’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서 일베를 여성, 호남, 동성애자 등 사회·정치적 소수자에 대해 범죄의 영역에 근접한 혐오성 폭력행위를 일삼는 사회병리적 범죄집단으로 진단했다.
이 의원은 일베현상을 해외에서 법률적으로 정립된 ‘증오범죄’의 측면에서 바라봤다. 그는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사회적 증오나 편견으로 인한 증오범죄에 대한 연구와 논의는 초기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상황”이라며 “구체적인 통계나 사회적 대응책에 대해서도 논의를 구체화해나가야 하는 단계”라고 말했다.
특히 이 의원은 미국의 KKK를 사례로 들어 “우리 사회도 일베로부터 확산된 호남, 여성에 대한 증오와 혐오의 언어들은 이미 일베라는 사이트, 온라인의 문턱을 넘은 지 오래”라며 이 같은 현상을 인종, 종교, 나이, 장애, 성별 등을 근거로 사회적 소수자인 특정 개인이나 집단을 공격하는 ‘혐오발화’로 설명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이 의원은 1998년 미국 와이오밍주에서 벌어진 동성애자 매튜 세퍼트에 대한 살인사건을 계기로 2002년 입법화한 ‘혐오범죄 처벌법’을 제안했다.
그는 “우리나라의 경우, 지금까지는 증오범죄를 인종이나 종교, 성별, 민족이나 국적, 성적 지향 등과 관련된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막연한 사회적 불만, 여성에 대한 증오로 인해 발생하는 범죄라는 인식이 일반적”이라며 증오와 편견에 기인한 학대나 협박도 범죄라는 인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의 발제에 앞서 토론회 사회를 맡은 신 의원은 이날 자리를 마련하게 된 계기에 대해 “사실 인터넷 세상, 사이버 세상에만 머물던 일베현상이 오프라인으로 거리에 나오게 되면서 이제는 더 이상 (일베를) 무시하고, 찌질하다고 폄하하는 데 머물 수 없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토론에서 “일베현상에 대해서는 법적·제도적 노력과 사회·문화적 노력이 동시에 있어야 한다”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드러나는 불법에 준엄하게 법을 적용하고, 집단모욕죄·증오범죄법·차별금지법과 같은 제도적 장치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거나 적용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추미애 "일베현상, 정권의 특성 반영"
아울러 외부전문가로 발제를 맡은 이대근 경향신문 논설위원은 일베현상을 보수의 정통성 문제에서 접근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이종걸 의원은 일베 현상을 일본의 극우단체인 재특회나 미국의 인종차별단체인 KKK단과 같은 증오범죄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진은 일베 화면캡처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