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노무현 NLL 포기? 그럼 전두환은 종북"

조성완 기자

입력 2013.07.01 10:50  수정 2013.07.01 10:57

"외교적 수사 갖고 얘기하는 것 본질 망쳐, 대화록 공개는 원칙적으로 반대"

박지원 민주당 전 원내대표는 1일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 논란과 관련, “외교적 수사를 갖고 얘기를 하는 것은 본질을 망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자료 사진) ⓒ데일리안
박지원 민주당 전 원내대표는 1일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 논란과 관련, “외교적 수사를 갖고 얘기를 하는 것은 본질을 망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회 남북관계발전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내정된 박 전 원내대표는 이날 PBC라디오에 출연해 “국정원이 갖고 있는 (대화록) 원본에는 포기나 땅따먹기 같은 용어가 없다. 그러나 좀 외교적 수사를 썼는데, 그건 양 정상이 만나서 그렇게 쓸 수밖에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전 원내대표는 “전두환 전 대통령이 김일성 북한 주석에 보낸 친서에서 ‘주석님께서 광복 후 오늘까지 40년에 걸쳐 조국과 민족의 통일을 위해 모든 충정을 바쳐 이 땅의 평화 정착을 위해 애쓰신 데 대해 이념과 체제를 떠나 한 민족의 동지적 차원에서 경의를 표해 마지 않습니다’라고 표현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 편지만 두고 보면 전 전 대통령도 종북세력이고 국가보안법 위반이고, 김 주석을 존경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박근혜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위원장도 회담을 했는데, 거기에도 분명히 덕담이 오가면서 요구할 건 요구하고 들을 건 들었을 것”이라며 “아마 박정희 전 대통령의 친서도 똑같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외교적 수사를 갖고 본질을 외도해서는 안 된다”면서 “이런 모든 것을 공개함으로써 대한민국이 외교 후진국이 되고 또 남북 간이 어려워지는 것으로 빠져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박 전 원내대표는 또 국정원 대통령기록관에 보관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공개하자는 당 안팎의 주장에 대해 “박근혜정부에서 특히 국정원이 초법적으로 (대화록을) 공개한 것은 아주 잘못된 일”이라며 “어떠한 경우에도 공개에 대해 원칙적으로 반대한다. 정상회담 관계 서류는 규정대로 30년간 비밀로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초법적 공개로 인해 외교후진국으로 낙인 찍히게 됐다”면서 “어떤 정상들이 우리나라 정상과 대화할 때 마음을 열 것이며 앞으로 남북관계는 어떻게 될 것인가. 마치 이걸 초등학교 대의원대회처럼 감정적으로 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박 전 원내대표는 특히 “(NLL 포기 발언의) 진실은 당시 국방부 장관이었던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제일 잘 알 것이며 그가 밝혀야 한다”면서 “김 실장과 당시 외교안보수석이었던 윤병세 외교장관이 (NLL 포기 발언이)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선언해줘야 한다. 정권이 바뀌었다고 아무 말을 하지 않는 것은 옳지 않다”고 강조했다.

같은 당 문재인 의원의 ‘정계은퇴 발언’에 대해서는 “정치적으로 민감하게 해석할 필요가 없다”며 “문 의원도 당시 10.4 남북정상회담의 준비위원장인 대통령 비서실장으로서 이러한 사실을 국민 앞에 밝혀야겠다 하는 의무감에서 나오는 얘기”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것을 갖고 정치적으로 친노(친노무현)가 결집하고 문 의원이 전면에 나서는 그런 일은 아니다”면서 “나는 그렇게 순수하게 본다”고 말했다.

한편, 박 전 원내대표는 박 대통령의 한중정상회담에 대해 “가장 큰 세계적 관심사였던 북한 핵 문제에 있어서 중국의 기존 입장에 역시 변화가 없다”면서 “남북관계가 어떻게 풀릴지는 좀 의문”이라고 평가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조성완 기자 (csw44@naver.com)
기사 모아 보기 >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