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부동산 3인방' 사퇴 요구에
與 "장동혁 6채, 송언석 50억 아파트" 반격
野 "궁지에 몰리니 전수조사로 국면전환"
"고위공직자 부동산 처분 의무화" 주장도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최근 정부와 여당 인사들의 10·15 부동산 규제 관련 발언이 잇따라 논란을 빚으면서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부동산 함구령'을 내린 상황에서도 여야는 날선 공방을 이어갔다.
전현희 민주당 최고위원은 27일 KBS라디오에 출연해 민주당의 전수조사 요구에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부동산 3인방(김용범 대통령 정책실장·구윤철 경제부총리·이억원 금융위원장)부터 사퇴시켜라'고 받아친 것에 대해 "장동혁 대표가 토지를 포함해 보유한 부동산이 6건이라는 것이 최근 알려졌다"며 "만약 계속 민주당을 공격한다면 국민들 앞에서 당당하게 전수조사해 그 현황을 드러내놓자"고 말했다.
김병주 민주당 최고위원은 고가 부동산 내지 다주택을 보유한 국민의힘 의원들의 이름을 거론하며 공격 수위를 높였다. 김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종류별로 집을 여섯 채나 컬렉션하고도 마치 푼돈인 것처럼 허위 광고하는 장동혁 대표는 시세조작 기획부동산 대표이사냐"며 "(부동산 정책 정상화 특위) 위원 김은혜, 조은희, 김도읍, 조정훈은 경쟁하듯 두 채에서 네 채의 집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송언석 원내대표의 50억원에 이르는 강남아파트, 김은혜 부부의 200억대 강남 빌딩과 단독주택, 입으로는 서민의 눈물을 말하지만 발밑에는 부의 대리석이 깔려 있다"고 덧붙였다.
그 외 지도부와 민주당 의원들은 말을 아꼈다. 정부와 여당 인사들의 10·15 부동산 대책 관련 발언이 연이어 구설수에 오르며 여론이 악화하자 정청래 대표가 관련 발언 자제를 요청하면서다. 정 대표는 전날 의원총회에서 "부동산 정책은 매우 민감하고 국민들이 예의주시하고 있기 때문에 개별 의원님들의 돌출적인 발언은 가급적 자제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이러한 정 대표의 당부가 있기 전 국민의힘에 국회의원 주택 보유 현황 전수조사를 제안한 박수현 수석대변인도 이날은 공세를 멈췄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 1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전날 장 대표가 민주당의 전수조사 제안에 대해 "본질이 아니다"라고 지적한 데 이어,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는 '국면 전환용'이라며 비판했다. 이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누가 봐도 명백하게 여당이 지금 부동산 정책 실패로 궁지에 몰리니까 국면 전환용으로 꺼낸 아이템이 아닐까 생각한다"며 "정치인들의 부동산은 전부 다 재산공개 대상이기 때문에 민간에서 시민단체가 조사하나 다른 형태로 전수조사를 하나 큰 의미가 없다"고 했다.
인요한 국민의힘 의원도 이날 YTN라디오에서 "국회의원이 될 때 이미 인터넷에 누구는 얼마 있고 부동산이 뭐가 있고 다 공개를 했다"며 "전수조사 그 자체도 하나의 정치적 쇼이자 게임이다. 그런 쓸 데없는 주변 얘기를 가지고 힘을 소모하지 말고 실질적인 문제, 정책을 가지고 대결하자"고 역제안했다.
고위공직자 대상 전수조사 및 부동산 처분 의무화를 주장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천하람 개혁신당 원내대표는 "이재명 대통령부터 대통령실·정부·공공기관의 고위 공직자와 기관장들을 전수조사하고 이 대통령의 부동산 정책에 동의하는 분들은 아파트를 팔도록 하자"며 "최소한 대출 받아서 토지거래허가구역 내에 아파트를 산 고위 공직자, 여당 의원들은 의무적으로 팔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2주택·2상가 보유로 논란이 된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을 향한 비판을 이어갔다. 송 원내대표는 "헌법에 다주택 금지 조항을 넣고 싶다고 한 인물이 이찬진이다. 그런데 그는 서초구에 수십억짜리 아파트 2채에 상가까지 보유한 슈퍼 다주택자였다. 위선의 대가"라며 즉각 경질을 촉구했다. 이 금감위원장은 이날 금융감독원과 금융위원회 등에 대한 종합감사에서 "부동산 1채를 자녀에게 양도하지 않고 처분하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