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국민비서 시범서비스 연내 공개 예정
음성명령만으로 전자증명서 발급·공공자원 예약 가능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전경. ⓒ데일리안DB
행정안전부가 네이버, 카카오와 손잡고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공공서비스 혁신에 나선다. 행안부는 27일 ‘AI 에이전트 기반 공공서비스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국민이 일상적인 대화로 행정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로 했다.
AI 에이전트는 단순 문의 응답을 넘어 사용자 지시에 따라 작업까지 수행하는 기술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정부는 네이버·카카오와 협력해 민간 AI 플랫폼을 공공서비스와 연계한다. 협력 범위는 기술 개발, 제도·정책 기반 마련, 기관 간 기술지원, 서비스 홍보 등으로 구성됐다.
양측은 연내 ‘AI 국민비서(가칭)’ 시범서비스를 선보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음성이나 문자로 요청만 하면 행정 절차를 대신 수행해주는 대화형 공공서비스다. 전자증명서 발급·제출이나 유휴 공공자원 예약(공유누리) 등 국민 수요가 높은 서비스를 우선 적용할 계획이다.
네이버는 자사 초거대 인공지능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개발해 자사 포털과 앱을 통해 시범 운영한다. 향후 이용자 관심과 위치 정보를 반영한 맞춤형 추천 기능도 추가할 예정이다.
카카오는 자체 거대언어모델 ‘카나나’를 탑재한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카카오톡과 연동해 시범서비스를 선보인다. 아울러 유해 콘텐츠 차단 기능을 갖춘 ‘카나나 세이프가드’를 적용해 안전성과 신뢰도를 높인다는 구상이다.
행안부는 시범사업 이후 ‘AI 국민비서’를 확장해 생애주기별 행정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하고, 개인의 상황에 맞춰 요청 없이도 자동으로 처리되는 행정환경을 구축할 방침이다.
윤호중 장관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AI 민주정부를 위해선 민간의 기술력과 협력이 중요하다”며 “국민 누구나 말 한마디로 쉽고 편리하게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