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 체포영장 수령·성남 괴문자 발송'…국민의힘, '김현지 의혹' 지속 폭로

김민석 기자 (kms101@dailian.co.kr)

입력 2025.10.16 11:38  수정 2025.10.16 11:41

'김용 재판 개입' 폭로한 주진우

"김현지, 체포영장 받았나" 압박

성남시의원 "김 실장, 성남서도

정치공작 주도…윗선 李대통령"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 ⓒ뉴시스

국민의힘이 이재명 정권의 실세로 불리는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에 대한 의혹을 지속해서 폭로하고 있다. '쌍방울 대북송금 사건'에서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의 변호인 교체에 개입하고,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의 불법 대선자금을 수령한 혐의 재판에도 개입했다는 의혹에 이어 지난 2013년 성남시 괴문자 발송을 주도한 것 역시 김 실장이라는 주장까지 제기됐다.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16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김현지 부속실장, 보좌관 시절에 이상호 변호사로부터 휴대전화를 통해 김용의 체포영장을 전송받은 사실이 있느냐"라고 추궁했다.


앞서 주 의원은 전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김용 전 부원장이 검찰에 체포됐을 때 변호를 맡은 이상호 변호사가 그의 체포영장을 몰래 김 실장에게 보낸 것으로 보인다"며 김 부속실장이 김 전 부원장 사건에도 깊숙이 관여한 정황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김 전 부원장은 20대 대선 경선 과정에서 대장동 업자 유동규·남욱으로부터 불법 대선자금 6억원을 받은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 중이다.


또 주 의원은 이날 다른 페이스북 글을 올려 설주완 변호사가 김 실장에게 '이재명 경기지사에게 불리한 진술을 할 조짐'을 보고했다는 내용의 기사를 공유하면서 "김 실장이 이재명(대통령)의 공범 사건까지 총괄했던 컨트롤타워라는 유력 증거"라며 "애지중지현지 별명이 왜 붙었는지 알 것 같다. 좌지우지현지"라고 꼬집었다.


주 의원은 지난 14일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쌍방울 대납 사건을 수사했던 검사였던 박상용 법무연수원 교수 검사와의 질의응답에서 "이 전 부지사의 (이재명 대통령을 향한 불리한) 자백 후 불과 3일만인 같은 해(2023년) 6월 12일 (이 전 부지사의 변호인인) 설주완 변호사가 갑자기 사임을 했다"며 "(설 변호사가) '민주당의 김현지님으로부터 질책을 많이 받아 더 이상 나올 수 없다'고 이야기를 했다"는 답변을 끌어내 이 전 부지사의 변호인 교체에 김 실장이 관여했단 의혹을 처음으로 폭로한 바 있다.


전날 채널A는 설 변호사가 "김 실장이 당시 '이 전 부지사가 이재명 대표와 관련이 있다는 진술을 하면 얘기해 달라'고 했다"고 밝히면서 실제로 이 전 지사가 이 대통령에게 불리한 취지로 진술을 번복하려 하자, 미리 귀띔 했고 김 실장이 '알겠다. 준비하겠다'는 답변을 보냈다고 보도한 바 있다.


김 실장과 관련한 의혹 제기는 또 있다. 이 대통령이 성남시장을 지냈던 지난 2010~2018년 성남시의원을 역임한고 3선의 이덕수 성남시의회 시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김 실장이 2013년 성남시에서 자신을 겨냥한 괴문자 발송을 주도했다"며 "당시 성남시장이었던 이재명 대통령을 위해 정적인 자신을 제거하기 위한 정치공작이었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2013년 1월 6일 오전 6시 8분께 성남시 유관단체 회원과 시민 등을 대상으로 '충격 성남 새누리당!! 의회파행 해외여행 000 000 / 양주병 시민폭행 000 / 성추행 000'라는 내용의 3만3071건의 문자메시지가 무더기 발송됐다는 사실을 밝히면서 "당시 검찰의 압수수색 결과 성남시청 2층 시장실 인근 '성남의제21' 사무실에서 해당 문자가 발송됐으며 김현지 당시 사무국장이 자신의 컴퓨터로 이를 보낸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에 김 실장은 허위사실유포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고, 2013년 10월 수원지법 성남지원에서 벌금 150만원을 선고받았다. 이 의원은 이후 추가로 민사소송을 제기해 500만원 배상 판결을 받았다.


또 그는 정치공작이 관변·어용단체 동원, 물리력 행사 및 성추행 고소, 기사화, 괴문자 발송, 시위 및 전단 살포 등 철저하게 자행됐다고 주장하며 "당시 김 실장이 모든 일을 독단적으로 수행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 중심에는 조직·자금 관리 역할을 했다는 의혹의 김 실장과 그 윗선에 이 대통령이 있었다는 건 성남시에선 상식"이라고 설명했다.


끝으로 "괴문자 발송 등 정치공작을 자행하고 유죄까지 받은 인물이 대통령의 최측근 고위직으로 국정을 담당한다는 사실은 참으로 무서운 일"이라며 "지금이라도 국정감사에 출석해 사실관계를 밝히고 고위공직자로서 국민적 의혹을 해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김민석 기자 (kms10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