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이어 협박까지…정부청사 보안 위기에 불안감 고조

김성웅 기자 (woong@dailian.co.kr)

입력 2025.10.01 15:00  수정 2025.10.01 15:43

방화협박 전화에 경찰·소방 출동

노동부 특성상 외부 방문 잦은 편

화재·테러에 취약한 국가기관

지난달 30일 오전 7시 30분경 노동부 청사 앞에는 방화를 예고하는 협박 전화가 걸려와 경찰과 소방이 긴급 출동했다. ⓒ데일리안 김성웅 기자

정부세종청사 고용노동부 주변으로 방화 위협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30일 오전 7시 30분경 노동부 청사 앞에는 방화를 예고하는 협박 전화가 걸려와 경찰과 소방이 긴급 출동했다. 소방차 7대와 수십 명의 경찰이 현장에 배치돼 경계태세를 갖추는 상황이 있었다.


협박 전화를 건 인물은 평소 1인 시위를 이어온 민원인으로 알려졌다. 실제 방화로 이어지진 않아 인명피해는 없었다.


지난달 25일 50대 남성이 김영훈 노동부 장관 집무실 앞에서 인화물질을 뿌리는 사건이 발생했다. ⓒ세종시소방본부

앞서 지난달 25일에는 50대 남성 A씨가 김영훈 노동부 장관 집무실 앞에서 인화물질을 뿌리는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장관은 부재 중이었고 집무실 문은 잠겨 있었다.


이 사건도 미수에 그치면서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인화물질을 들고 장관실 앞까지 진입했다는 점에서 출입 통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정부청사관리본부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민원인은 1층에서 방문증을 발급받고 담당 직원과 함께 보안 게이트를 통과해야 한다. 그러나 A씨는 이 절차를 따르지 않고, 1.5m 높이의 차단막을 뛰어넘어 진입한 것으로 파악됐다.


A씨가 난입했을 때 청원경찰관은 자리를 비웠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28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합동감식을 위해 소방, 경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관계자들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발생한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정부 전산망이 마비돼 다수의 행정 서비스가 중단되는 일이 발생하면서 국가기관 보안의 중요성이 상기되고 있다.


당시 화재는 국정자원 대전본원 7층 전산실에서 발생해 노동부 주요 서버가 입주한 7-1실이 전소되면서 피해가 확산됐다. 이 구역에는 노동행정 및 산업안전 관련 데이터가 집중돼 있어 전산 복구까지 최소 2개월 이상 소요될 예정이다.


특히 노동부는 해당 화재로 임금체불 신고와 산업재해 접수 등이 수기로 전환되면서 국민들이 큰 불편함을 겪는 상황이다.


노동부는 임금체불, 산업재해, 부당해고 등 다양한 민원을 다루는 부처로, 외부 방문이 잦은 편이다. 특히 생계가 걸린 문제를 관할하는 부처 특성상 방문 민원인의 감정이 격해지는 경우가 많다.


감정이 격해진 일부 민원인이 인화물질 투척, 테러 예고 등 극단적 행동을 할 경우, 청사 내 근로자와 내방객의 안전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 관계자는 “최근 발생한 방화 협박 및 미수 사건은 일반적인 상황이 아니다”며 “재발 방지를 위해 출입 관리 절차와 현장 대응 체계를 점검 중”이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김성웅 기자 (woong@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