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실질소득 10년간 연평균 증가율 1.9%
‘양적개선’에도 불구, ‘질적저하’로 근로소득 증가 제약
"고용의 질 높이고, 원가부담 낮춰 외식비 부담 줄여야"
최근 10년 간 청년층(만 20~29세) 실질소득 증가율이 전 세대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훈련 등 고용의 질을 높이고, 원가 부담을 낮춰 체감 물가를 높이는 외식비 부담을 낮춰야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014~2024년 세대별 실질소득 추이'를 분석한 결과 최근 10년(2014~2024년) 간 청년층 실질소득 증가율은 연 1.9%로 전 세대 중 가장 낮았으며, 실질소득 증가 추세도 과거 5년 연평균 증가율 2.6% 에서 최근 5년 연평균 1.1%로 둔화됐다고 29일 밝혔다.
한경협은 청년층 실질소득 증가율 부진의 요인을 실질소득을 구성하는 명목소득과 물가로 나눠 분석했다. 우선 청년층의 명목소득 증가의 제약 요인으로 청년층 고용의 ‘질적저하’를 꼽았다.
최근 10년 간 청년층의 근로소득 연평균 증가율은 3.6%로 모든 세대 중 가장 증가율이 낮았다. 아울러 청년층은 명목 경상소득 내 근로소득 비중이 높은 가운데, 저조한 근로소득 증가율이 명목 경상소득 상승 부진으로 이어졌다.
같은 기간, 청년층의 명목 경상소득 증가율은 연 4.0%로 모든 세대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같은 기간, 청년층의 실업률은 3.2%p 낮아졌고, 고용률도 3.6%p 상승하면서, 청년층 고용의 ‘양적 개선’이 이뤄졌다. 하지만 근로소득 수준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비정규직 비율이 1.1%p(32.0% →43.1%) 늘어나며 청년층 고용의 ‘질적 개선’은 이뤄지지 않았다.
외식비 상승에 따른 체감물가상승도 청년층 실질소득 부진의 주요 원인이다. 최근 5년 간 소비지출 항목 중 청년층에서 지출 비중이 가장 높은 음식·숙박비가 식사비를 중심으로 가파르게 상승했다.
가처분소득과 체감물가를 과거 5년과 최근 5년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청년층 명목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2014~2019년 연 3.8%에서 2019~2024년 연 4.0%로 상승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청년층 체감물가 상승률이 연 1.1%에서 2.8%로 뛰면서, 명목 가처분소득 상승효과가 상쇄되며, 청년층 실질소득 증가율은 오히려 하락했다.
한경협은 가파른 음식ˑ숙박비 상승을 청년층 체감물가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지목했다. 최근 5년 간 ‘음식·숙박’ 물가는 ‘식사비’를 중심으로 연 4.0% 올랐는데, 이는 소비지출 항목 중 ‘식료품ˑ비주류음료’(5.1%)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한편, 청년층의 소비 바스켓 구성 항목의 청년층 체감물가에 대한 상승 기여율을 분석한 결과, ‘음식·숙박’이 30.9%로 전 항목 중 가장 높았다.
한경협은 청년층 실질소득 개선을 위해 고용의 질을 높이는 노동시장 정책과 함께 체감물가 개선을 위한 외식물가 안정화가 필요하다고 바라봤다.
2022년 한국의 GDP 대비 전체 노동시장정책 지출규모(1.02%)는 OECD 평균(0.98%)을 상회하며 개선된 수치를 기록 중이나, 여전히 ‘직접 일자리 창출’과 같은 양적 개선에 편중돼 있다. 이에 한경협은 고용훈련, 기업의 양질의 고용창출 여력 확대 등 질적 제고를 위한 노동시장 정책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경협은 "최근 외식업체의 높아진 식재료비 부담을 고려하여 할당관세,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등을 통해 식재료비 원가 부담을 줄임으로써, 외식물가의 안정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