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단 공모에 24개 컨소시엄 지원
연구단·세관직원, 기술 개발·실증
관세청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6일 배재대학교에서 한국연구재단, 사업단 및 연구단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관세행정 현장 맞춤형 기술개발 2.0 사업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사업은 지난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추진된 1.0 사업(7개 과제, 312억원 규모) 성과를 기반으로, 이달부터 오는 2028년까지 총 190억원을 투입해 4개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신규 연구개발(R&D) 사업이다.
연구단 공모에는 총 24개 컨소시엄이 지원해 평균 경쟁률 6대 1을 기록했다.
이는 관세행정 R&D에 대한 학계·연구계·산업계의 높아진 관심과 기대를 보여주는 의미 있는 결과다.
최종 선정된 4개 연구단은 세관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 실증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사업의 주요 목적은 ▲AI 관세행정 구현 ▲국민건강 보호 ▲사회안전 확보로 세관 직원과 전문가가 연구개발 전 주기에 참여해 현장의 문제를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맞춤형 기술개발을 추진하는 데 있다.
추진체계는 중요사항을 심의하는 사업추진위원회, 연구단 선정·관리를 총괄하는 사업단,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연구단, 사업을 지원하는 사업자문단 등으로 구성된다.
착수보고회에서는 관세청장, 과기정통부 공공융합연구정책관, 한국연구재단 사무총장, 배재대 총장 등이 참석해 연구성과에 대한 기대와 격려의 메시지를 전하고 향후 협력을 통한 성과 창출을 응원하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이명구 관세청장은 “이번 2.0 사업은 높은 경쟁률을 통해 검증된 연구단과 함께하는 만큼, 관세행정의 인공지능 혁신을 앞당기고 첨단기술의 도약과 연구단·참여기업의 진짜 성장을 지원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관세청은 연구성과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하고 신뢰받는 무역환경으로 이어지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