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흉 악화로 별세
코미디언협회장으로 장례 치를 예정
'개그계의 대부'로 불리던 전유성이 별세했다. 향년 76세.
25일 연예계에 따르면 전유성은 폐기흉 증세가 악화돼 이날 오후 9시 5분쯤 세상을 떠났다.
1949년생인 전유성은 1969년 TBC 예능프로그램 '쑈쑈쑈' 방송 작가로 방송계에 입문했다. 이후 코미디 작가 겸 코미디언으로 활동하며 '유머 1번지', '쇼 비디오 자키' 등 1980년대 인기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활약했다. '개그콘서트', '주목 코미디 극장' 등 주요 코미디 프로그램들을 누비며 활발하게 활약했다.
슬랩스틱 코미디가 주류였던 당시, 남다른 입담으로 한국 코미디의 새 장을 열기도 했다. 특유의 느리지만, 통찰력 있는 멘트로 풍자 코미디의 재미를 보여주기도 했었다. 대표적인 풍자 코너 '네로 25시'에서는 "얘는 무슨 말을 못 하게 해"라는 유행어를 탄생시키는 등 재미와 의미를 다 잡는 '남다른' 행보를 보여줬었다.
'개그맨'이라는 말을 처음으로 사용하는 등 새 길을 개척하는데 주저함이 없었다. 지금까지도 사랑받는 KBS 코미디 프로그램 '개그콘서트' 관련 아이디어를 낸 창시자이며, 최초의 코미디 전용 극장 '철가방 극장'을 설립해 후배들을 양성하기도 했다. 이후 '코미디 시장'이라는 그의 극단을 통해 안상태, 황현희, 신봉선, 박휘순 등이 발굴됐다.
'하지 말라는 것은 다 재미있다', '아이디어로 돈 벌 궁리 절대로 하지 말라' 등 다수의 저서를 통해 자신의 코미디 소신을 전하기도 했다. 여러 통로를 통해 코미디의 매력을 전하며, 후배들의 든든한 버팀목이 돼주며 '개그계의 대부'로 불렸다.
최근까지도 코미디에 대한 열정을 불태웠었다. 코미디언 김대희의 '꼰대희'에 출연,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해 진솔하게 털어놓는 등 후배와 진솔하게 대화했으며 지난달 예정됐던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북토크 행사에도 참여할 예정이었다. 건강 상의 이유로 이 행사에는 참석하지 못했으나, 마지막까지 무대에 오르겠다는 의지를 놓지 않았다.
전유성의 건강 악화 소식에 전날 병원을 찾았던 김학래는 데일리안을 통해 "현재 산소호흡기를 통해 숨만 쉬고 있다. 그런데 정신은 또렷해서 자신의 장례에 대한 농담을 주고받을 정도"라며 "본인이 '나는 곧 죽어'라고 하신다"고 말했다.
마지막까지 후배들에게 귀감이 된 전유성의 장례는 대한민국방송코미디언협회가 주관해 코미디언협회장으로 치러질 예정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