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점포 매각·개발 계획 수 년 전부터 계획? 사실 아냐"

이나영 기자 (ny4030@dailian.co.kr)

입력 2025.09.25 14:24  수정 2025.09.25 14:26

홈플러스 CI.ⓒ홈플러스

홈플러스가 홈플러스 사태 해결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의 기자회견과 관련해 일부 내용에 전면 반박하고 나섰다.


홈플러스는 25일 "인수 당시부터 주주사가 유통기업 경영보다는 부동산 매각에 초점을 맞췄다는 주장의 근거로 공대위가 언급한 자료들 상당 부분은 주주사 내부자료가 아니다"며 "대주단에 담보로 제공되는 부동산의 가치와 향후 재무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자료이거나 대주단 내부자료"라고 밝혔다.


점포 매각 및 개발 계획을 수 년 전부터 계획했다는 주장에 대해 "자체적으로 개발계획을 수립했다고 주장하는 점포들은 모두 당사 소유가 아닌 임대점포로 당사가 임대점포의 개발계획을 수립한다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고 꼬집었다.


자산유동화는 구매채널 온라인 전환 추세에 대응하기 위한 부득이한 결정으로, 이 재원으로 홈플러스 메가 푸드 마켓 론칭 및 온라인 배송인프라 구축 등 변화하는 사업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한 필수적인 투자를 실행할 수 있었으며, 코로나19 당시 대규모 영업손실도 메울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회사 측은 "투자 재원 및 운영자금 마련을 위해 자산유동화를 진행할 경우 매수자가 개발을 목적으로 할 때 재 입점을 매각 조건으로 제시하고 있다"며 "이에 자산유동화 점포 중 만성적자였던 3개 점포를 제외한 대다수의 점포는 재개발 이 완료되면 다시 입점할 예정"이라고 했다.


또한 인수금용 상환을 위해 점포 매각 후 임대로 전환하면서 실적이 악화됐다는 것과 관련해서는 "6개 단기 임대 매장을 제외한 총 62개 임대매장 중에서 2015년 현 주주사 경영권 인수 후 임대로 전환된 매장은 14개뿐"이라며 "48개 임대매장은 현 주주사가 경영권을 인수하기 전인 2010~2015년 대형마트 최고 호황기에 계약된 매장들로 당시 높은 매출을 기준으로 임대료가 과도하게 높게 책정되어 있어 실적에 부정적으로 작용해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최근 구매 채널이 온라인으로 급격히 전환되면서 대형마트 3사 모두 수익성이 악화됐는데 이는 대형마트 업계가 당면한 공통적인 상황"이라며 "이처럼 현 주주사가 인수금융을 상환하기 위해 매장을 매각하고 높은 임대료로 재 임대함에 따라 수익성이 악화됐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아울러 "대형마트 불황에도 현 주주사 경영권 인수 후 홈플러스는 지금까지 한 번도 인위적인 구조조정을 시행한 적이 없다"며 "자산유동화 점포 직원은 개별 면담을 통해 전원 인근 점포로 전환 배치하는 등 고용을 100%보장해왔으며 향후로도 그럴 것"이라고 전했다.


또 "변화된 근무환경에 직원들이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고용안정지원금을 지급하는 등 직원들의 고용안정을 최우선으로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입점 업주들이 폐점 시 원상복구 비용을 떠안았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회생절차로 인한 폐점과 관련해 해당 점포 입점주들에게 원상복구비용을 부과하지 않겠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해당 점포 입점주들과 소통을 완료했다"고 말했다.


이어 "보상 관련해서도 이미 합의가 완료된 입점주가 퇴점을 희망할 경우 합의 내용에 따라 보상금을 지급할 예정"이라며 "만약 입점주가 폐점 여부 확정 시까지 계속 영업하기를 희망할 경우 영업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이나영 기자 (ny403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