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 적잖아…12·12, 5·18 과거사 논란에
일가의 비자금 의혹 여전…"부적절한 인선"
이재명 정부가 7개월 넘게 공석이던 주중대사에 노태우 전 대통령의 장남 노재헌 동아시아문화센터 이사장을 사실상 내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주러시아 대사에는 러시아 외교 경력이 풍부한 이석배 전 주러대사가 다시 기용될 것으로 보인다.
외교 소식통은 11일 노 이사장을 중국대사로 낙점하고 실무 절차가 진행되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 전 대사 역시 관련 절차를 밟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 이사장은 지난달 말 이 대통령 특사단 일원으로 중국을 찾아 시진핑 국가주석에게 친서를 전달했다. 부친인 노 전 대통령이 1992년 한중 수교를 성사시킨 '북방정책'의 주역이었던 만큼, 한중관계 개선 의지가 인선 배경으로 작용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다만 비판 여론이 적지 않다. 노 전 대통령의 12·12 군사반란, 5·18 민주화운동 탄압 등 과거사 논란과 일가의 비자금 의혹이 여전히 진행 중이어서 '부적절한 인선'이라는 목소리가 제기된다.
5·18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공로자회)와 5·18 기념재단은 이날 성명을 내서 "최근 정부의 주중대사 내정에 대해 강력히 규탄한다"며 "학살 책임자의 직계 가족을 외교 요직에 임명하는 것은 5·18 희생자와 유족은 물론 민주주의를 지켜온 국민 전체를 모독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어 단체는 "5·18은 국가 폭력에 맞서 피로 지켜낸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뿌리이며, 이 희생으로 오늘의 민주 정부가 세워진 것"이라며 "이번 인사는 국민적 열망을 저버린 배신이자 역사의 아픔을 다시 짓밟는 폭거와 다름없다. 임명계획을 즉각 철회하라"고 밝혔다.
반면 중국은 환영하는 듯한 입장이다. 중국 외교부 린젠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노 이사장의 주중대사 내정에 대해 "관련 보도에 주목했다"며 "사절은 양국 협력의 중요한 교량으로, 한국의 정식 지명을 기다린다"고 했다.
주중대사 자리는 지난 1월 정재호 전 대사 이임 후 7개월째 비어 있다. 윤석열 정부는 김대기 전 대통령 비서실장을 내정했지만 비상계엄 사태와 정권 교체로 취임이 무산됐다.
주러대사로 내정된 이 전 대사는 외교부 내 대표적인 '러시아통'으로 꼽힌다. 러시아를 담당하는 구주 2과장, 주상트페테르부르크·주블라디보스토크 총영사, 주러 공사를 거쳤다. 2019~2022년에는 주러대사를 지냈다. 러시아어 실력도 뛰어나 과거 정상회담에서 통역을 맡았다. 외교가에서는 러시아와의 관계가 어려운 상황에 '현안을 잘 아는 안정적인 카드'라는 평가가 나온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