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혁 전 국방부 수사단장, 여섯 번째 출석…염보현 군검사도 소환
'VIP 격노 회의' 참석자 조태용·임기훈도 소환…尹 지시사항 추궁 전망
채상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은폐 의혹 등을 수사하고 있는 이명현 특별검사(채상병 특검)팀이 20일 경찰에 이첩됐던 사건 기록 회수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는 주요 인물들을 잇달아 소환했다. 특검은 이들을 상대로 윤석열 전 대통령 등 당시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로부터 채상병 사건 기록 회수와 관련해 어떤 지시사항을 받았는지 추궁할 것으로 보인다.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 피의자 신분인 김동혁 전 국방부 검찰단장은 이날 오후 서울 서초동 특검 사무실에 출석했다. 김 전 단장은 여섯 번째로 특검팀에 소환돼 조사를 받고 있다.
김 전 단장은 조사실로 들어가기 전 '박정훈 대령(해병대 수사단장)을 집단항명수괴 혐의로 입건한 것은 본인 판단인가'라는 취재진 질문에 "제 판단"이라고 답했다.
'박 대령 구속영장 청구서에 적힌 '(윤석열) 대통령 격노는 망상'이라는 내용을 본인이 염보현 군검사에게 넣으라고 지시했나' '(윤 전 대통령 측근) 고석 변호사와 순직 사건 관련 논의는 전혀 하지 않았는가' 등의 질문에는 "성실히 답하겠다"고 짧게 답했다.
김 전 단장은 해병대 수사단이 경북경찰청에 이첩한 채상병 사건 기록을 압수수색영장 없이 무단으로 회수하고 국방부 조사본부의 재검토 과정에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당시 국방부 조사본부는 채상병 사망 관련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자를 기존 8명에서 2명으로 축소해 경찰에 넘겼는데 채상병의 직속 부대장인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혐의자에서 제외되기도 했다.
이와 함께 김 전 단장은 해병대 수사단 차원이 채상병 순직 사건 수사를 지휘한 박 대령에게 집단항명수괴죄를 적용하려다가 과도하다는 지적이 나오자 항명 혐의로 바꿔 기소했다는 의혹도 받는다.
박 대령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서에 '대통령 격노는 망상'이라는 허위사실을 적시한 의혹을 받는 염보현 군검사(육군 소령)도 이날 오전 채상병 특검팀에 소환됐다.
이와 함께 임 전 사단장이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자로 포함된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조사 결과를 보고 받고 윤 전 대통령이 격노했다는 의혹이 불거진 지난 2023년 7월31일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회의에 참석헀던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장과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도 이날 채상병 특검팀에 소환돼 조사받고 있다.
조 전 실장은 이날 특검팀에 출석하면서 "성실하게 잘 답변하겠다"고 말했고 임 전 비서관은 '대통령이 기록 회수를 지시했나' '대통령이 박정훈 대령 항명혐의 수사하라고 지시했나' '대통령이 혐의자에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빼라고 말했나' 등의 질문에 침묵을 지켰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2023년 7월31일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회의에서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조사 결과를 보고받은 뒤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냐"고 화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윤 전 대통령은 조 전 실장과 임 전 비서관을 남긴 채 '02-800-7070' 번호로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이렇게 하면 누가 사단장을 하겠나. 그동안 여러 차례 강조했는데 왜 업무를 이렇게 처리했는가"라고 따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같은 해 8월2일 낮 12시 박정훈 대령이 이끄는 해병대 수사단이 경북경찰청으로 사건 기록을 이첩한 사실을 인지한 후 이 전 장관으로부터 대통령에게 보고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이첩 사실을 전달받은 윤 전 대통령이 화를 냈다고 조 전 실장이 특검에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임 전 비서관 역시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사건 기록 이첩과 관련해 질책을 받았다는 점을 특검에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이때 조 전 실장과 임 전 비서관이 윤 전 대통령 및 대통령실 관계자 등으로부터 해병대 수사단에서 경찰로 이첩된 사건 기록 회수와 관련한 지시를 받았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