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국민 눈높이 맞는 복귀 여건 마련”
수련협의체 구성 추진…의정 대화 복원 물꼬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들이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보건복지부가 장관과 차관 인선을 마무리하며 새 진용을 꾸렸다. 정은경 장관 체제 출범과 함께 1년 반 넘게 이어진 의정갈등이 본격적인 시험대에 올랐다.
의료계와 환자단체는 모두 신임 장관에 기대를 거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는 공식 협의체 구성을 준비하며 대화 복원 채비에 들어간 모습이다.
의료계와 환자단체 모두 복지부의 첫 움직임에 주목하는 가운데 정부와 의료계가 다시 마주앉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23일 정부 등에 따르면 앞서 이스란 제1차관과 이형훈 제2차관이 각각 임명된 것에 이어 정은경 장관 취임하면서 복지부 수장 라인이 전면 교체됐다.
정 장관은 인사청문회에서 “가장 시급한 과제는 의정갈등 해소”라고 강조했고 전날 취임식을 가지고 난 뒤 역시 “2년 이상 의사 배출이 공백되면 국민 입장에서 어려움이 있다”며 “신속하고 효율적인 정상화 방안을 찾겠다”고 밝혔다.
또 정 장관은 “특혜를 준다는 오해와 불신이 있는 것도 잘 알고 있다”며 “국민 눈높이에 맞는 복귀 여건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으겠다”고 강조했다. 의료계의 복귀를 유도하되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진행하겠다는 방침이다.
의료계는 정 장관의 임명에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입장문을 통해 “진정성 있는 소통과 협력을 기대한다”며 “조속한 실질적 대화의 장이 필요하다”고 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도 “정 장관의 진정성 있는 리더십에 기대하며 중증·핵심의료 재건을 위한 협의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대전협은 이미 수련환경 개선과 필수의료 인력 지원 등을 포함한 3대 요구안을 공식화한 상태다.
환자단체 역시 복귀 흐름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면서도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을 촉구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이날 입장문을 통해 “의료공백으로 고통받은 환자 입장에서 전공의 복귀는 반갑지만 조건 없는 자발적 복귀여야 하며 특혜 논란은 없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부와 국회는 다시는 집단행동으로 환자의 생명이 위협받는 일이 없도록 재발 방지 입법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복지부는 수련병원협의회, 대한의학회, 전공의협의회 등이 참여하는 ‘수련협의체’ 구성을 준비 중이다. 의사인력 수급조정 논의를 위한 ‘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도 이달 내 공식 출범할 예정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