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스마트 안전기술 공유…싱가폴·네덜란드 참석

김성웅 기자 (woong@dailian.co.kr)

입력 2025.07.08 10:38  수정 2025.07.08 10:38

안전보건공단 CI. ⓒ안전보건공단

안전보건공단과 고용노동부는 8일 오전 10시 경기 고양시 킨텍스 제2전시관에서 ‘스마트 안전기술: 현재와 미래’ 국제세미나를 열었다. 세미나는 주요국의 스마트 산업안전 기술이 반영된 정책과 적용 사례의 공유를 통해 글로벌 스마트 안전 기술의 국내 확산을 위한 목적으로 개최됐다.


이번 세미나는 네덜란드, 싱가포르, 일본, 한국의 산업안전보건 및 인공지능(AI) 전문가와 국내 노·사·정 등 안전보건 관계자 약 150명이 참석했다. 배계완 을지대학교 안전보건학과 교수의 진행 아래 이뤄졌다.


사데그 샤흐모하마디(Sadegh Shahmohammadi) 네덜란드 응용과학기술연구소 수석 엔지니어는 생성형 AI를 바탕으로 한 위험 징후 사전 예방 조기 경보 시스템에 대해 소개했다.


시미즈 쇼켄(Shimizu Shoken) 일본 산업안전보건연구소 특별연구원은 작업자와 기계 간 협업이 증가함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위험 요소 식별, 대응 방안 설계, 검증 및 교육 등의 안전보건 프로세스를 디지털화한 통합생산시스템을 설명했다.


운청팽(Woon Cheng Peng) 싱가포르 인력부 산하 직업안전보건연구소 부국장은 싱가포르 산업안전보건 2028 로드맵의 핵심 전략 중 하나인 첨단 기술을 활용한 산업안전보건 혁신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책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했다.


서용윤 동국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교수는 디지털전환(DX)기반 스마트 기술(IoT, AR/VR, 드론 등)과 설비, 교육, 작업자, 상황인지 등에 적용되고 있는 산업안전 AI 기술의 현재와 로봇, 데이터 등을 활용한 AI 기술의 미래에 대해 설명했다.


세미나 참석자들은 국외 우수사례를 바탕으로 진화하고 있는 스마트 안전기술을 국내 실정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발견했다고 평가했다.


김현중 공단 이사장은 “AI·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첨단 기술이 산업안전보건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으며 산업현장에 어떻게 적용하는가에 따라 국가 안전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있다”며 “공단은 상황을 깊게 인식하고 스마트 안전 기술을 바탕으로 K-산업 안전보건 체계 구축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김성웅 기자 (woong@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