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구역 늘었지만 '단속 인력 부족'…"시민 인식 개선 필요" [담배 연기 없는 서울시①]

허찬영 기자 (hcy@dailian.co.kr)

입력 2025.06.18 02:32  수정 2025.06.18 02:32

서울역광장과 인근 도로 약 5만7000㎡ 금연구역 지정하고 흡연 행위 집중 단속 나서

2024년 말 기준 서울 시내 금연구역 총 30만1063곳…2020년보다 1만3000곳가량 늘어

금연구역 관리·단속 인원 124명에 불과…"단속 인력과 방식에 대한 계획 수립 예정"

서울시 "단속 한계 있어…시민들 인식 개선 위한 교육, 캠페인 등 홍보 활동 계획"

17일 오후 서울역광장에 설치된 흡연구역. 일부 시민들이 흡연구역 밖에서 담배를 피우고 있다.ⓒ데일리안 허찬영 기자

서울시와 자치구가 도심 내 '간접흡연' 피해를 줄이기 위해 강도 높은 금연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최근 중구는 서울역광장과 인근 도로 약 5만7000㎡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하고 해당 지역에서 흡연 행위에 대한 집중 단속에 나섰다. 다만 단속 인력 부족이 한계로 지적되면서, 서울시와 자치구는 시민 인식 개선을 위한 대책도 병행 추진하고 있다.


17일 서울시와 자치구, 경찰 등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서울역광장과 인근 도로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했다. 금연구역은 ▲서울역광장 및 역사 주변 약 4만3000㎡ ▲서울역버스종합환승센터 일원 약 1만3800㎡ 등 모두 5만6800㎡ 규모다.


이곳에서 흡연하면 1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특히 6~7월 두 달간은 용산구청, 서울남대문경찰서와 함께 '서울역광장 금연구역 단속 전담반'을 구성하고 흡연 행위와 꽁초 투기에 대한 집중 단속에 돌입했다. 유동 인구가 많은 서울역 일대를 금연구역으로 설정해 단속의 실효성을 높이고, 비흡연 시민들의 불편을 줄이겠다는 목표다.


민원이 끊이지 않았던 강남·천호역 일대에서도 비슷한 조치가 시행됐다. 서울경찰청 기동순찰4대는 지난해 11월부터 강남·천호역 일대 금연구역 흡연 행위 및 꽁초 투기를 단속하고 환경개선을 실시했다. 경찰은 강남역과 천호역 일대에 각 1개 순찰팀을 배치하고 관할 경찰서·구청 등과의 합동단속·순찰을 7차례 벌여 담배꽁초 무단투기를 822건 적발했다.


이러한 집중 단속 결과, 해당 지역의 112 신고 건수는 절반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속이 시민 인식과 행동 변화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시는 현재까지 금연구역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난해 말 기준 서울 시내 금연구역은 총 30만1063곳으로 2020년 28만7239곳보다 1만3000곳 이상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주요 지하철역 출입구와 버스정류장, 공원, 학교 주변은 물론이고, 유동 인구가 많은 상업지역과 광장까지 대상이 넓어지고 있다.


흡연 단속원 이모씨가 17일 오후 서울광장 흡연구역 앞에서 지도·단속을 하고 있다.ⓒ데일리안 허찬영 기자

하지만 단속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것은 한계로 지적된다. 서울 시내 금연구역이 30만 곳이 넘는 것에 비해 이를 관리·단속하는 인원은 서울시 전체를 통틀어 124명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산술적으로 1인당 2400곳이 넘는 금연구역을 책임져야 하는 것이다. 실제로 집중 단속 구역으로 지정된 서울역광장 일대조차도 흡연 단속원 2명이 축구장 2개 정도 크기의 구역을 담당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날 데일리안이 서울역광장에서 만난 흡연 단속원 이모(60대)씨는 "오전에 2명, 오후에 2명으로 총 4명이 서울역광장 전체를 담당하고 있다"고 토로하면서도 "그나마 시민들이 단속원들의 말을 잘 들어줘서 다행"이라고 말했다.


이에 중구 관계자는 "흡연 단속원들뿐만 아니라 구청 공무원들도 현장에 나가서 돕고 있다. 현재 중구 지도 단속원 6명과 용산구 지도 단속원 7명이 주 2회 집중 단속에 나서고 있다"며 "향후 단속 인력과 방식에 대한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향후 금연구역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단속보다는 예방과 인식 개선에 방점을 둘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흡연 단속원들이 모든 것을 단속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시민들의 인식 개선을 하는 것이 올바른 금연 문화 확산에 현실적인 방안"이라며 "교육이나 포럼, 캠페인 등 다양한 홍보 활동을 통해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지킬 수 있는 금연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허찬영 기자 (hcy@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