쟁의 행위 찬반 투표서 찬성 의결…30일 첫차부터 파업 등 돌입 계획
서울시·자치구·버스조합, 비상 수송 대책 본부 구성해 24시간 연락 체계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오는 30일 파업이나 준법투쟁 등 쟁의행위를 예고하면서 서울시는 비상 수송 대책을 마련했다.
28일 서울시에 따르면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은 이날 오전부터 실시한 쟁의 행위 찬반 투표에서 찬성으로 의결했다.
재적 조합원 1만8082명 중 88.2%인 1만5941명이 투표해 그 중 1만5359명이 찬성하고 538명이 반대했다. 무효표는 44건이었다. 투표 인원 대비 찬성률은 96.3%, 전체 조합원 대비 찬성률은 84.9%였다.
노사는 지난해 12월부터 이달 3일까지 총 9차례의 교섭을 벌였고 지난 23일 서울지방노동위원회 중재 아래 1차 조정회의를 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노조는 협상 시한인 29일 사측과 2차 조정회의를 한 뒤, 결렬될 경우 30일 첫차부터 파업이나 준법투쟁 등 쟁의행위에 돌입할 계획이다.
이에 서울시·자치구·버스조합은 비상 수송 대책 본부를 구성해 24시간 연락 체계를 유지한다.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 9호선, 우이신설경전철 등 교통 운영 기관과도 협력한다.
지하철은 출퇴근 혼잡 완화와 불편 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1일 총 173회를 증회한다. 출퇴근 주요 혼잡 시간을 현행보다 1시간 연장해 열차 투입을 늘린다. 지하철 막차도 익일 오전 2시까지 연장해 심야 이동을 지원한다.
지하철 출퇴근 등을 빠르게 연계하기 위해 서울 25개 각 자치구는 무료 셔틀 버스를 운행한다. 시내버스 운행이 중단되는 노선 중 마을버스가 다니지 않는 지역을 중심으로 주요 거점에서 지하철까지 연계할 수 있도록 민·관 차량 500여대를 즉시 투입할 예정이다.
시는 파업 등 쟁의 행위 장기화를 대비해 출근 시간에 집중되는 이동 수요를 분산하고자 시내 초·중·고등학교와 공공 기관, 민간 기업 등에 등교와 출근 시간을 1시간 조정해 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다.
실시간 시민 안내를 위해 120 다산콜센터와 교통정보센터 토피스, 시 홈페이지와 SNS계정, 도로 전광판, 각 정류소의 버스정보안내 단말기 등을 통해 교통 정보를 제공한다.
25개 자치구도 관내 거주 시민에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