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오늘부터 전공의 면허정지 절차 집행…행정처분 사전통지서 발송

박진석 기자 (realstone@dailian.co.kr)

입력 2024.03.05 11:10  수정 2024.03.05 11:11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인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이 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오늘부터 근무지를 이탈한 전공의에 대해 면허정지 절차를 집행한다.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전날 오후 8시 기준 전공의 수가 많은 상위 50개 병원은 현장점검, 나머지 50개 병원은 서면보고 결과 중 레지던트 90% 이상이 근무지를 이탈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인턴을 제외한 레지던트 1~4년차 9970명 중 근무지 이탈자가 90.1%(8983명)를 넘은 것이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다수의 전공의가 환자 곁을 떠난 지금의 상황을 정부는 엄중하게 생각하고 있다”며 “정부는 전공의가 없는 상황까지 고려해 중증, 응급환자 중심의 비상진료체계를 마련해 현장 상황에 맞춰 적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더 급하고 위중한 환자들을 위해 상급종합병원 이용을 자제해 주신 국민 여러분과, 환자 곁에서 최선을 다하고 계신 현장의 의료진 덕분에 환자들의 생명을 지킬 수 있다”며 “상급종합병원은 중증, 응급환자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고 중증이 아닌 환자는 다른 종합병원에서 협력하여 진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응급실의 일반병상과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은 집단행동 이전과 유사한 수준으로 치료 여력을 확보하고 있다”며 “정부는 예비비 등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의사가 부족해 수련생인전공의에게 의존해 왔고비중증 환자도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으로 집중될 수밖에 없었던 현재의 왜곡된 의료체계를 바로잡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비상진료체계’를 설계·운영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박진석 기자 (real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