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與 대표 후보 3차 TV토론
鄭 "이재명 대통령이 판단할 것"
朴 "인사·사면권자 뜻 존중해야"
8·15 광복절을 앞두고 여권 내 조국 조국혁신당 전 대표에 대한 사면론이 부상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차기 당대표 후보로 나선 정청래·박찬대(기호순) 후보가 "사면권은 대통령 고유 권한"이라면서 말을 아꼈다.
정 후보는 29일 MBC에서 진행된 8·2 전당대회에 앞서 열린 마지막 3차 TV토론회에서 '대표가 되면 조국 전 대표의 사면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건의할 것이냐'는 ○·X 질문에 푯말을 들지 않았다.
그는 "조 전 대표를 옹호하고 동지적 관점에서 그에게 많은 응원을 했으나 책임 있고 직책 있는 당대표로서 특수 권한에 대한 왈가왈부는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대통령이 어련히 잘 판단하지 않겠느냐. 대통령의 판단을 존중하고 심사숙고 하실 것"이라고 했다.
이어 "특별사면은 매우 민감한 사안이고 대통령의 고유권한"이라며 "대통령실에서도 특별사면의 왈가왈부는 적절치 않다고 했다"고 말했다.
푯말을 들었으나 O·X의 가운데를 든 박 후보는 "푯말 룰을 지키면서 표시를 하지 않는 방법은 가로로 드는 방법밖에 없었다"며 "정 후보와 뜻이 모였다. 사면권은 대통령 고유권한"이라고 밝혔다.
그는 "당에서 사면권과 관련한 부분에 있어 공식 입장을 밝히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정 후보도 나도 개인적 생각이 있으나 의견을 전달하는 방법이 공식적인 자리인 것은 적절치 않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재명정부 초기 아니냐"라며 "충분히 인사권자·사면권자의 입장을 존중하고, 의견을 자제하고, 다른 방식으로의 전달이 적절하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한편 조 전 대표는 '자녀 입시 비리'와 '청와대 감찰 무마' 등의 혐의로 지난해 12월 대법원에서 징역 2년이 확정된 뒤 현재까지 수감 생활을 이어오고 있다.
최근 여권에서 조 전 대표에 대한 사면 필요성이 대두되는 가운데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지난 2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각계각층에서 조 전 대표 사면을 요구하는 탄원서가 접수된 것은 사실"이라고 밝혔다.
우상호 정무수석은 "아직 대통령실은 관세 협상에 매진하고 있는 단계로 정치인 사면에 대한 검토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지 않았다"며 "다만 (광복) 80주년을 맞이한 민생 사면은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