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이 쏘아올린 '해수부 부산 이전'…꿈틀대는 PK 민심

송오미 기자 (sfironman1@dailian.co.kr)

입력 2025.06.29 00:05  수정 2025.06.29 00:07

李, '해수부 연내 부산 이전' 지시한 데 이어

장관 후보자에 유일한 부산 의원 전재수 지명

내년 지방선거 염두에 둔 동진 전략이란 해석

PK 민심 반응…李 지지율 61% 고공 행진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 25일 서울 마포구 포스트타워 마포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과 만나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 ⓒ뉴시스

이재명 대통령의 '해양수산부 연내 부산 이전 지시'가 PK(부산·울산·경남) 민심을 파고들고 있다. 해수부 부산 이전은 이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부터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내건 핵심 공약 중 하나다.


이 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해수부 부산 이전에 가속 페달을 밟고 있다. 이 대통령은 지난 5일 취임 후 첫 국무회의에서 빠른 이전 준비를 지시한 데 이어 24일에는 "12월까지 아예 완료하는 계획을 세워보라"고 했다. 또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유일한 부산 지역 국회의원인 전재수 의원(3선·부산 북갑)을 해수부 장관으로 지명하며 해수부 부산 이전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이 대통령의 이 같은 속도전을 두고 정치권에선 내년 지방선거를 염두에 둔 포석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전 의원이 해수부 부산 이전을 조기에 완수하고, 내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의 부산광역시장 후보로 출마할 것이란 관측이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는 지난 25일 인사청문회 준비를 위해 서울 마포구 국립수산품질관리원 서울지원에 마련된 사무실에 첫 출근을 하면서 기자들과 만나 "해수부를 부산으로 옮기는 것은 작게는 부산의 문제이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대한민국의 성장 전략"이라며 "새로운 바닷길이 열리는 북극항로 기회를 활용해 부산과 경남을 중심으로 국가 항로 시대를 선도해야 한다"고 했다.


전 후보자는 "단순히 지금 모습 그대로 부산에 옮겨가기보다는 해수부의 기능과 역할·위상을 강화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며 "산업통상자원부의 조선 해양 플랜트 부분, 국토교통부의 항만개발 배후 인프라 개발 문제 등이 있다. 어떻게든 해양정책과 산업정책은 한 몸으로 가야하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했다.


아울러 이전 장소와 관련해선 "부산을 내 손바닥 보듯이 다 보고 있다"고 자신하며 "최적의 후보지가 어딘지 좀 더 고민해보겠다"고 했다. 해수부 신축 청사를 짓는 동안 임시청사 후보로는 산업은행 이전 예정 부지로 비워둔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문현금융단지 내 일반용지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 대통령의 '동진(東進) 전략'에 PK 민심도 반응하고 있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23~25일 3일간 무선 100%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에 따르면, PK 지역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수행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비율은 61%p에 달했다. 직전 조사(6월 9~11일) 대비 14%p나 상승했다.


이 대통령이 지난 24일 '해수부 연내 부산 이전'을 지시하고, 바로 이튿날인 25일 부산의 유일한 민주당 의원인 전재수 의원을 해수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하자, PK 민심이 즉각 반응한 것이다. 6·3 대선에서 이 대통령은 부산 40.1%, 울산 42.5%, 경남 39.4%의 득표율을 각각 기록했다.


PK의 정당 지지도는 민주당 46%, 국민의힘 28%로 각각 나타났다. 양당 격차는 18%p였다. 직전 조사에서는 민주당 36%, 국민의힘 33%로 오차범위 내 접전 양상을 보였지만, 2주 만에 10%p 이상 격차가 벌어진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송오미 기자 (sfironman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