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장하성 동생 펀드' 파문…금융당국 늑장 대응에 피해자들 원성 고조


입력 2020.04.14 06:00 수정 2020.04.14 05:32        이충재 기자 (cj5128@empal.com)

디스커버리 환매 중단하자 지난해 6월 검사 후 '무소식'

피해 투자자 "정치적 부담에 소극적 대응" 문제제기 나서

금융감독원 제공 금융감독원 제공

'제2의 라임 사태'로 불리는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의 환매 중단과 관련해 금융당국이 늑장‧소극적 대응이라는 비판론에 휩싸일 것으로 보인다. 금융감독원이 지난해 중순 검사를 했지만 아직까지 "경위를 파악 중"이라며 관련 조치를 차일피일 미루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1800억원 규모의 사모펀드 환매 중단에 돌입하면서 관련 투자자들의 피해가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이 펀드는 기업‧신한‧하나은행과 주요 증권사 등에서 판매됐다.


특히 디스커버리의 장하원 대표가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낸 장하성 주중대사의 동생이라는 점에서 논란은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시장에선 디스커버리의 주요 펀드가 '장하성 동생펀드'로 불릴 정도였다.


애초에 디스커버리가 시장에서 몸집을 키운 데에는 '정권 실세의 동생'이라는 타이틀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금융권에서도 "전혀 근거 없는 얘기만은 아니다"고 보고 있다.


실제 2016년 11월 설립된 디스커버리는 2017년 상반기만 해도 수탁액이 500억원 수준이었지만, 현재 설정액이 4933억원 수준으로 72개 펀드를 운용 중이다. 3년 사이 은행·증권사들을 판매사로 잡으면서 규모로 대폭 늘린 것이다.


이는 문재인 정부 경제사령탑으로 장하성 정책실장이 활동한 시기(2017년 5월~2018년 11월)와 맞물린다. 장 대사는 청와대를 나온 이후에도 주중대사로 직행하며 정권 실세로서의 면모를 과시했다.


이에 투자자들은 판매사들이 불완전 판매를 했다며 법적대응을 준비하는 한편, 일부 투자자들은 정치권 개입 의혹과 함께 "금융당국이 정치적 부담에 소극적 대응을 하는 것 같다"며 의혹을 시선을 보내고 있다.


국책은행으로 타깃이 된 기업은행은 200여명의 투자자에게 695억원을 돌려주지 못하고 있다. 기업은행은 윤종원 행장이 "책임을 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직접 나서는 동시에 전무이사를 단장으로 하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했다.


윤 행장은 지난 12일 취임 100일 간담회에서 "운용사를 수시로 방문해 지급유예 상황, 피해소지 등을 최대한 파악하고 이에 대한 진행상황을 고객에게 본점에서 직접 수시로 안내하고 협의 드리고 있다"며 "다각적인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 행장은 지난해까지 청와대에서 경제수석을 지내며 정책실장이었던 장하성 대사와 함께 경제사령탑으로 호흡을 맞췄다.


금융권에선 금감원이 4.15총선 이후에나 관련 조치를 취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금감원이 지난해 4월 디스커버리의 펀드환매 중단 직후 검사에 착수한 만큼, 당장 대책을 내놓더라도 늑장대응이라는 지적을 피하긴 어려운 상황이다.


금감원은 라임자산운용의 환매 중단 사태에 대해서도 지난해 10월 검사에 착수해 4개월 후에야 중간검사 결과를 내놔 논란을 키웠다는 비판여론에 시달렸다.

이충재 기자 (cjl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