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반시장 규제] 전방위 부동산규제에 대형IB 날벼락…수조 투자 포기해야할 판


입력 2020.01.26 06:00 수정 2020.01.26 07:37        이미경 기자 (esit917@dailian.co.kr)

금융당국 전방위 부동산 규제에 대형IB들 대응책 마련 부심

셀다운 강화 및 기업여신 비중 높이고 보안자본발행 가능성

ⓒ데일리안 ⓒ데일리안

최근 자기자본을 늘리며 부동산금융을 중심으로 IB업무를 강화해온 증권사들이 정부의 부동산규제에 맞선 대응전략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금융당국이 작년 12월 초 발표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건전성 관리 방안에 따르면 내년 7월부터 증권사들은 부동산 PF사업에 자기자본 이상으로 채무보증을 할 수 없게 된다. 부동산PF 채무보증은 자기자본의 100%로 제한된다.


대형IB들은 금융당국의 강력한 규제에 대한 대응책 마련을 위해 고심하고 있지만 당장 대규모 딜(거래)마저 놓칠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특히 금융당국에서 제시한 부동산 채무보증 한도를 훌쩍 뛰어넘거나 거의 임박한 증권사들의 고심이 커지고 있다.


2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6월 말 기준 국내 증권사의 부동산PF의 채무보증 규모는 26조2000억원을 차지한다.


일부 증권사들은 이미 채무보증 규모가 자기자본 대비 100%를 상회하거나 거의 임박한 상황이어서 익스포저 축소 압력으로 인한 부담이 커진 상황이다. 때문에 증권사들은 자산건전성 개선을 위해 자기자본을 늘리거나 PF대출을 상환하기 위한 자구책 마련에 분주한 상황이다.


KB증권 리서치센터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3분기 기준 증권사 대상 자기자본 대비 채무보증 비율은 메리츠종금증권이 211.5% 로 가장 높고 한국투자증권이 94.7%, NH투자증권은 68.6%, 삼성증권 51%, 미래에셋대우 38.8% 순으로 나타났다.


메리츠종금증권은 여신자산 18조4000억원 가운데 채무보증 규모가 7조7000억원에 이른다. 수익의 60% 이상이 부동산PF 사업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투자증권은 여신자산 13조4000억원 가운데 채무보증 규모가 4조원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부동산PF를 제외한 IB와 트레이딩 실적 기여도가 높은 편이다.


앞서 금융당국은 작년 말 증권사 PF의 채무보증에 대한 한도를 설정하고 보수적인 리스크 평가기준을 적용하는 등 전방위적으로 규제를 강화하는 내용을 발표했다. 개별 증권사의 자기자본 대비 부동산 채무보증 한도를 100%로 설정한데 이어 영업순자본비율(NCR)에 반영되는 신용위험액 산정시에 PF 채무보증에 대한 위험값을 12%에서 18%로 상향조정키로 했다.


또한 조정유동성비율 100% 미만 증권사에 대해선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다는 방침이다. 또한 종합금융투자사업자의 부동산대출을 영업용순자본에서 전액 차감하는 한편 대손충당금 적립기준도 강화했다. 주기적인 리스크 관리 실태 점검과 공시의무 강화에 나설 방침이다.


이를 포함해 금융당국에서 IB 신용공여대상에서 부동산관련 법인을 제외하기로 하는 등 부동산금융 규제는 더욱 강화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대형IB들은 이같은 전방위 규제에 강한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자기자본을 늘려가며 국내외 부동산PF에서 대규모 딜로 사업영역을 확장해왔는데 새로운 수익원 확장 가도에 노란불이 켜졌기 때문이다. 증권사들은 지급보증을 매입약정으로 전환해 신용위험액을 축소하는 등 대응방안에 나설 전망이다.


김고은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증권사들은 이번 규제 여파로 부동산 관련 딜의 경우 셀다운을 강화하고 기업 여신 비중을 높일 가능성이 높다"며 "이자수익보다 수수료 수익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며 후순위채 등 보완자본 발행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이어 "다만 발행어음 부문 마진은 중장기적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미경 기자 (esit91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미경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