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대안신당 누구와 손잡나…'4대 크루' 통합 가능할까


입력 2019.10.02 02:00 수정 2019.10.02 05:56        이유림 기자

제로베이스 창당·합당 후 신당개편 등 거론

원탁회의에서 한데모여 '원샷통합' 논의할 수도

각자 창당 완료한 뒤 '통합신당' 가능성 유력

제로베이스 창당·합당 후 신당개편 등 거론
원탁회의에서 한데모여 '원샷통합' 논의할 수도
각자 창당 완료한 뒤 '통합신당' 가능성 유력


박주선 바른미래당 의원과 박지원 대안신당(가칭) 의원. ⓒ데일리안 류영주 기자 박주선 바른미래당 의원과 박지원 대안신당(가칭) 의원. ⓒ데일리안 류영주 기자

대안정치연대가 의원총회를 통해 대안신당(가칭)으로 이름을 바꾸고 신당 창당 의지를 높여가고 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 사이의 '제3지대'를 하나로 규합하겠다는 움직임으로 보이는데, 군소정당 등으로 파편화된 이 지대를 어떤 식으로 통합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유성엽 대안신당 대표는 1일 의원총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제3세력의 '대통합'과 '소통합'에 대해 언급했다.

유 대표는 "(제3세력이) 총선 전에 크게 뭉쳐야 할 필요가 있다"며 "대통합으로 가되 이런저런 이유로 대통합이 어렵다면 소통합을 먼저 이루는 것도 방법이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대통합'이든 '소통합'이든 '제3지대 신당'을 칭하기 위해서는 '4대 크루(Crew·공통의 목적을 위해 모인 그룹)'의 통합은 기본일 것으로 정치권에서는 바라보고 있다. '제3지대 신당'에 잠재적으로 함께 할 세력으로 여겨지는 △대안신당 자신들과 △바른미래당 당권파 △평화당 관망파 △무소속 호남계 의원 등을 가리킨다.

이들 세력이 정계개편에 대비해 각자의 방식으로 세 불리기에 나서고 있는만큼, 향후 어떤 방식으로 뭉치게 될 것인지도 주목된다. 방식으로는 △제로베이스 창당 △합당 후 신당개편 △원탁회의·원샷통합 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제로베이스 창당은 지금까지 정치권에 몸담지 않았던 참신한 인사를 중심으로 하는 외부 세력이 '제로'에서부터 신당을 창당해나가고, 기성 정치세력인 대안신당·바른미래당 당권파·평화당 관망파·무소속 등은 시차를 두고 삼삼오오 입당 선언을 해, 전혀 새로운 신당을 창당하는 방식이다.

구심점 역할을 할 '전혀 새로운 참신한 인사'가 누구냐가 문제지만, 이 방식은 기성 정치인이 전면이 아니라 2선에 위치하기 때문에 국민에게 가장 신선하게 인식된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외부인사'가 구해지지 않거나, 구해지더라도 '제3지대 신당'을 이끌어나갈만한 정치력과 카리스마가 없다면 애초부터 불가능한 시나리오라는 단점이 있다.

△합당 후 신당개편은 이미 정당의 형태를 갖추고 있고 재정도 탄탄하며 당원이 많은 바른미래당 당권파를 밑바탕으로 해서 대안신당·평화당 관망파·무소속 등이 합당하는 전당대회를 개최하되, 이 과정에서 당명·당색·로고는 물론 당헌·당규와 지도체제까지 일거에 개편해 신당으로 거듭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이미 당사와 사무처, 지역위원회 등 물적 기반을 갖추고 있는 기존 정당을 최대한 활용해 '제3지대 신당' 창당 작업이 이뤄지므로 절차가 신속·용이한 것이 장점이다. 그러나 국민들, 특히 호남이 이렇게 해서 창당되는 신당을 바른미래당과 연속성이 없는 새로운 '제3지대 신당'으로 인식해주는 게 필요하다는 점이 단점이다.

△원탁회의·원샷통합은 이미 정당으로 성립해 있는 바른미래당과 평화당 등은 전당대회를, 아직 정당이 아닌 대안신당은 발기인대회와 시·도당창당대회를 거친 뒤 같은날 중앙당창당대회를 열어 두세 당을 '원샷'에 합쳐 새로운 당으로 거듭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서는 뿔뿔이 흩어져 있는 대안신당·바른미래당 당권파·평화당 관망파·무소속 등의 제세력이 '원탁회의'에 모여앉는 과정이 선행돼야 한다. 협상 과정에서 국민의 주목도를 높일 수 있는 게 장점인 반면 지분 조율 등이 어려울 수 있고 절차가 지지부진할 수 있다는 점이 단점으로 꼽힌다.

현재 '제3지대 세력'들의 면면을 보면 바른미래당과 평화당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된 공식 정당이지만, 대안신당은 아직 창당 과정에 있다. 엄밀히 말하자면 정치적 결사체에 불과하다. 창당을 위해선 '발기인대회→5개 이상의 시·도당 창당대회→중앙당 창당대회'의 절차를 밟아야 한다.

정당 면모를 갖추지 못한 세력은 조직 등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간주돼 통합신당에서도 지분에 한계가 생길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지난 2016년초 국민의당 창당 과정에서 급히 창당 작업을 밟은 국민회의는 지분이 인정돼 천정배 의원이 안철수 전 대표와 함께 공동대표로 추대된 반면, 창당준비위원회 단계에 머물렀던 통합신당은 지분이 깎여 박주선 의원이 최고위원을 맡는데 그쳤다.

아울러 합당 후 개편 방식은 아무래도 흡수하는 세력에게 유리한 방식이라 상대적으로 정당 규모가 작은 세력은 흡수당하며 불리함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결국 원만한 '제3지대' 통합신당 출현을 위해서는 각 세력이 모두 창당 절차를 밟아 정당 면모를 갖춘 뒤 통합하는 방식이 현재로선 가장 유력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매 선거에서 승패를 갈랐던 인재영입도 어떤 과정에서 어떤 방식으로 이뤄질지 관심이 쏠린다.

대안신당은 그동안 신당의 대표를 외부인사로 앉히겠다는 구상을 여러차례 밝혀온 바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기존의 정치권 인사로는 제3지대가 성공하기 어렵다"며 "참신한 외부인사가 통합신당을 이끌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유림 기자 (lovesom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유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