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더더기 없는 본질의 세계, 미니멀리즘(Minimalism)
1975년 스티브 잡스가 부모님의 창고에서 시작한 컴퓨터 사업은 10년 만에 직원 4천명에 시가총액 20억 달러의 기업으로 성장했다. 이 회사가 바로 애플사다. 서른 살의 스티브 잡스는 혁신적인 아이디어 뱅크였지만, 독불장군식 운영 때문에 원성을 샀고, 급기야 자기가 만든 회사에서 쫓겨난다. 그가 쫓겨나간 뒤 애플은 경영사정이 악화되었고, 1998년 마침내 다시 그는 애플에 복귀했다.
그가 복귀하면서 회심의 역작으로 들고 나온 것이 ‘아이맥’이다. 이 아이맥이 바로 미니멀리즘 스타일을 취하고 있었다. 당시 기술팀에서는 38가지 이유를 들면서 아이맥을 거부했다. 애플사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해고당했고, 그들은 ‘아이맥’을 거부한 사람들이었다.
결국 ‘아이맥’은 대히트를 치게 된다. 애플의 일관되고 단순하고 세련된 제품들은 스티브 잡스의 평생 철학인 미니멀리즘에서 비롯한다. 최근에는 작고 가벼운 ‘미니멀리즘’ 디자인의 i-Pod(MP3플레이어)를 선보여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아이맥’이나 ‘i-Pod’와 같이 미니멀리즘(Minimalism)의 작품은 기존의 예술 문화계에서 배척을 받으며 탄생했지만, 대중적으로 크게 성공하게 된다. 미니멀리즘은 말 그대로 ‘최소의, 최소한도의, 극미의’라는 minimal에 ´ism´을 붙인 말이다. 미니멀리즘은〈더 적은 것이 더 많다〉또는 〈작은 것이 아름답다〉는 심미적 원칙에 기초를 둔다.
1960년대 미국에서 크게 유행한 미니멀리즘(minimalism)은 평면성과 구획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만을 남기고 불필요한 요소들을 없애버렸다. 색채와 형태를 단순화한 절제된 양식에 극도의 절제와 단순미를 부각시켰다. 크게 활성화 된 것은 2차 세계대전 전후였다. 더 거슬러 올라가자면 미니멀 표현은 대상을 파괴하고 결정체로 단순화시켜 버리는 20세기 초 추상미술에서 출발한다. 처음에는 시각 예술 분야에서 출발했지만 음악, 건축, 패션, 철학 등 다방면의 영역으로 확대되었다.
어느 예술적 사조나 나름의 시대적 사회적 배경을 가지고 있게 마련이다. 전쟁은 인류 문명의 최종 결과라는 말이 있다. 문명은 무엇인가 인위적으로 만들어내는 것이다. 복잡한 양상과 의미부여는 인류 문명의 특징이다. 그러한 문명이 결국 인간을 파괴하고, 자연까지도 파괴하고야 만다. 따라서 인위적인 것보다는 자연스러움을 선호하는 사회심리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후의 분위기 반영이 미니멀리즘이다.
미니멀리즘이 왜 미국에서 꽃 피운 것일까? 전후 전승국으로써 세계에서 가장 물질 문명국이라는 미국에서 여전히 사람들은 여전히 불행했으며 젊은이들은 전쟁에 끌려가야 했다. 결국 인류문명에 근본 원인이 있었다. 히피 운동은 자연으로 돌아가려는 집단 의지였다. 따라서 복잡하고 산업화된, 즉 인공적인 삶에서 벗어나자는 정신 체계를 기본으로 했다.
이때 동양 사상에 상당히 영향을 받게 된다. 동양 사상 중에서도 선(禪)의 정신세계에 심취하게 된다. 선(禪)에서 강조하는 것은 단순성의 철학이다. 근본진리는 단순하다는 깨달음을 설파한다. 본래 대가의 그림이나 글은 단순하다고 했다. 아마추어의 작품은 기교와 수사, 수식이 많다. 그것은 깨달음과 본질을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미니멀리즘은 바로 예술적인 기교나 각색을 최소화하고 사물의 근본 즉 본질만을 표현하려 했다는 점에서 자연스러운 본질을 추구하는 히피와 닮았다. 본질만 남기고 나머지는 제거하는 것이다. 미니멀리즘은 본질을 나타내는 단순성을 가장 중요하게 여긴다.
미니멀리즘 작가들은 어휘나 문장 구조 또는 수사학, 작중인물이나 플롯 행위 등에서도 불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과감하게 생략했다. 소박한 수사나 내용의 간결함, 단순하고 짧은 대사, 침묵이 많은 대화, 탈구조적 서사는 미니멀리즘 문학의 특징이다. 드라마 <네 멋대로 해라>, <아일랜드>와 <미안하다 사랑한다.>는 미니멀리즘 계열의 작품이다.
음악 미니멀리즘은 안정적인 박자, 반복과 조화를 강조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영화음악에서도 핵심이 되는 선율과 리듬을 끊임없이 반복, 변주함으로써 핵심적 주제와 정서나 분위기를 뚜렷이 부각시켰다. 건축에선 소재와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효율성을 추구하는 모습으로 등장했다. 여백 미학의 젠 스타일-절제된 선과 면을 이용한 디자인, 메탈, 유리, 패브릭 등 자연친화적인 재질과 색상으로 연출한 인테리어에서는 선호되었다. 미니멀리즘 가구는 단순, 검소, 비장식으로 이미지보다 형태와 양감을 더 중요시한다.
단순성의 정점인 미니멀리즘 가전제품의 색상은 메탈, 검정 등으로 차분하고 매우 고급스런 분위기를 풍긴다. 미니멀리즘 주방은 가구와 마찬가지로 장식성이 강한 것보다 전체적으로 매끄럽고 하나의 표면으로 처리한 제품들이 많다.
영화계에서는 ‘아시안 미니멀리즘’이 주목받기도 했다. 롱테이크와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이뤄진 아시아적 미학적 경향은 영화의 미니멀리즘적인 특성이다. <오! 수정>의 무대화 방식이나 <정사>의 인테리어와 작품의 분위기는 단순성과 절제의 미학을 보여준다.
2007년 남성복 미니멀리즘은 한층 절제된 느낌으로, 컬러에 있어서는 미니멀리즘의 대표 색상인 검정과 회색이 단연 강세며, 단순한 민무늬가 유행 키워드로 등장했다. 여성복은 ‘로맨틱 미니멀리즘’인데 심플한 실루엣에 볼륨감이 강조되어 절제된 듯하면서도 편안하고, 단순하지만 포인트 강조의 장식, 로맨틱하면서도, 복고적 이미지가 가미된 스타일이다.
최근에 대중문화에서는 사실성을 강조하는 팩션 작품이나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유행이다. 이는 무연출, 비가식을 욕망하는 대중들의 심리를 반영하는 것이다. 쌩얼 열풍이나 순수성에 대한 갈망도 결국 마찬가지 심리에 바탕 한다. 단순성과 본질의 미학을 추구하는 것도 결국 가식적이거나 장식적인 삶에서 벗어나 진실과 본질에 회귀 하려는 대중적 심리의 반영이다. 미니멀리즘은 삶과 세계에 대한 근본진리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